코로나19 확진·격리자 사전투표 부실 관리 논란이 대선 막판 뇌관으로 부상하고 있다.
초박빙 승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대선 공정성 논란을 자초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다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부정선거’ 음모론에는 선을 긋고 있다.
양당 모두 대선 승리 가능성이 있어 자칫 부정선거 논란을 잘못 펼쳤다가 대선 이후 자기 발목을 찍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논란이 패배한 측에게 불복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우려가 크다.
문재인 대통령은 6일 사전투표 부실 관리 논란과 관련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그 경위를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상세하고 충분히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에서 전했다.
문 대통령은 선관위를 향해 “본투표에서는 이런 논란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빈틈없이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시했다.
사전투표 관리 부실 논란이 확산하자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6일 선관위를 상대로 긴급 현안보고를 받았다.
이 자리에 참석한 박찬진 선관위 사무차장은 “사전투표 과정에서 제기됐던 여러 지적에 대해 겸허히 수용하겠다”며 “3월 9일에는 한치의 오치도 없이, 차질 없이 선거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 고 말했다.
박 사무차장은 “(확진자·격리자 투표 관련) 2안을 만들어서 7일 오전 10시 긴급위원회를 소집했다”고 밝혔다.
선관위의 부실 관리 논란에 여야 할 것 없이 맹공을 퍼부었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선관위 차원의 대국민 사과와 함께 책임자들에 대한 엄중한 문책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도 “선관위는 이 사태가 발생한 데 대해 전체적인 책임을 질 인사의 즉각적인 거취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초박빙으로 승패가 갈릴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양당은 ‘공정성’ 문제 대신 ‘관리 부실’을 문제 삼았다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특히 지지층을 향해 대선 당일인 9일 적극적으로 투표에 임해줄 것을 당부했다.
그러나 사전투표 부실 관리 문제가 향후 공정성 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은 “초접전 양상인데다 이번 선거는 극도의 ‘비호감 분노 선거’이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한다”며 “설령 큰 격차로 이긴다고 해도 1표에 불법 소지가 있으면 선거 전체에 대한 공신력을 훼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형준 명지대 인문교양학부 교수는 “확진·격리자들의 투표용지가 담긴 봉투를 상자나 쇼핑백에 보관했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라며 “향후 큰 논쟁거리가 될 수도 있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만일 근소한 차이로 어느 한 쪽이 이기게 된다면 사전투표 관리 부실 논란이 양 지지층 사이에서 큰 논쟁거리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가현 강보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