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의 절반이 올해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을 예정이라는 조사 결과가 6일 발표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2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가 이같이 나왔다.
신규채용 계획 미수립 기업은 42.1%, 신규채용이 아예 없는 기업은 7.9%다. 전년(63.6%) 대비 감소했지만 아직 코로나 확산 이전 수준인 41.3%(2020년) 수준보다 높다. 전경련은 “코로나 확산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지 못해 여전히 일자리 시장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신규채용 계획이 없거나 채용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한 기업들은 그 이유에 대해 가장 많은 19.2%가 ‘필요한 직무능력을 갖춘 인재 확보가 어렵다’고 응답했다.
이어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 상황이 좋지 않음’(17.3%), ‘회사상황이 어려움’(13.5%), ‘고용경직성으로 인해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한 탄력적인 인력 구조조정 어려움’(13.5%) ‘내부 인력 수요 없음’(11.5%) 순으로 이유를 꼽았다.
반면 신규채용을 수립한 기업 중 41.4%는 작년보다 채용을 늘리겠다고 답했다. 이유로 ‘회사가 속한 업종 경기가 좋거나 좋아질 전망’(44.8%) ‘신산업 또는 새로운 직군에 대한 인력 수요 증가’(24.1%) ‘미래의 인재 확보 차원’(20.8%) ‘퇴사로 인한 인력 수요 발생’(10.3%) 순이다.
또 기업들은 올해 상반기 중 수시채용을 적극 도입할 예정이다. 기업 10곳 중 6곳 이상(62.1%)은 신규채용에서 수시채용을 활용하겠다고 답했다. 이 중 수시채용만 진행하는 기업은 15.0%, 공개채용과 수시채용을 병행하겠다는 기업은 47.1%였다. 공개채용만 진행하는 기업은 37.9%다.
대기업들의 이공계열 전공자, 경력직 선호 현상이 두드러졌다. 올해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 인원 중 61.0%가 ’이공계열’ 졸업자가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규채용 계획인원 중 29.7%를 경력직으로 뽑을 예정이다.
기업들은 대졸 신규채용을 늘리기 위해 차기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기업규제 완화(43.6%)를 꼽았다. 이어 ‘고용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18.6%) ‘신산업 성장 동력 분야 기업 지원’(17.9%) ‘4차 산업혁명 분야 직업훈련 지원 확대’(9.3%) 등을 꼽았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