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9일 대통령선거 투표 당일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와 유전자증폭(PCR) 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중이다. 이 경우 투표는 어느 시간대에 해야 할까. 정부는 일반 유권자처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투표하면 된다고 밝혔다. 이에 시민과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전파 가능성을 우려하며 보완책 마련을 주문했다.
현재 코로나19 확진자 및 격리자는 선거 당일인 9일 오후 6시부터 오후 7시30분까지 투표할 수 있다. 일반 유권자와 투표 시간대가 완전히 분리된 것이다.
그러나 방역 당국에 따르면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PCR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경우에는 일반 유권자와 같은 시간대에 투표하게 된다.
고재영 질병관리청 대변인은 지난 3일 정례브리핑에서 “PCR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사람은 확진자가 아니므로 일반 유권자 투표 시간대에 투표하면 된다”며 “신속항원검사가 양성인데 PCR검사를 받지 못한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시민들은 이 같은 정부 방침에 불안감을 표출했다.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을 받은 이들이 일반인과 섞인 채 실내에 설치된 투표장에서 시간을 보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정주(26)씨는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이 일반인과 같은 시간대에 투표한다고 하니 코로나19 전파가 걱정된다”며 “신속항원검사 양성자라면 보수적으로 확진자로 잡아 오후 6시 이후에 투표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누리꾼들은 “신속항원검사 양성이면 PCR도 양성인 경우가 많은데, 사실상 확진자랑 같이 투표하라는 거냐” “투표하러 갔다가 코로나 걸릴까 겁난다” “예산 들여서 투표소를 분리해 달라” 등의 걱정 섞인 목소리를 쏟아냈다.
전문가들도 우려를 표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교수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바이러스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감염 위험이 있다”며 “법적으로 확진자로 되지 않을 뿐이지 안전하다고 할 순 없다”고 말했다.
정진원 중앙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신속항원검사자 대부분은 증상이 있거나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이라면서 “또한 신속항원검사 결과 양성이면 PCR검사에서도 양성일 확률이 높아 코로나19 전파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정부 발표를 보고 조금 당황스러웠다”며 “세계 최고 수준인 50%대의 PCR검사 양성률은 신속항원검사의 유용성이 높다는 걸 의미하기 때문에 신속항원검사 양성자를 사실상 코로나19 확진자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미크론 변이의 높은 전파력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들을 위해 투표 시간대와 공간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천 교수는 “신속항원검사 결과 양성이 나왔다면 확진자 및 격리자와 같은 시간대에 투표해야 한다”면서 투표 시간에 대해서도 “현재 확진자와 격리자가 많으므로 (확진·격리자) 투표 시간을 2시간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도 “신속항원검사 양성자는 일반 유권자와 시간대를 달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신속항원검사의 위양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더라도 PCR검사 결과 음성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이 확진자와 같은 시간대 투표할 때 위험성도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가짜 양성자가 실제 확진자와 같은 시간대에 투표할 수 있으므로 확진자들과 공간을 구분하는 방법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찬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