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에서 금메달 1개와 은메달 2개를 획득한 최민정이 1억8000만원의 포상금을 받았다. 최민정의 포상금 총액은 당초 1억8750만원으로 책정됐다. 하지만 쇼트트랙 여자 대표팀 선수들이 베이징까지 동행하고도 출전하지 못한 동료에게 단체전 은메달 상금을 4분할이 아닌 5분할로 나누기로 뜻을 모으면서 1인당 수령액에 변화가 생겼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4일 서울 송파구 잠실동 롯데호텔월드에서 베이징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들에게 포상금을 전달했다. 연맹은 개인 종목 금메달에 1억원, 은메달에 5000만원, 동메달에 3000만원의 포상금을 각각 지급한다. 단체 종목에선 금메달 2억원, 은메달 1억5000만원, 동메달 1억원을 팀 단위로 책정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포상금에서 2배로 인상됐다.
최민정은 베이징 동계올림픽 출전자 중 포상금 최고액을 기록했다. 황대헌은 최민정의 뒤를 이었다.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은 남·여 계주에서 각각 은메달을 획득했다. 단체전 포상금 총액 3억원이 출전 선수들에게 배분됐다.
박지윤의 경우 쇼트트랙 단체전 여자 대표팀 구성원 5명의 일원으로 베이징에 갔지만 3000m 계주 준결승, 결승에 출전하지 못했다. 계주에선 4명까지 출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박지윤은 메달 포상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됐다. 하지만 대표팀 선수들은 포상금 1억5000만원을 5명 분량으로 나눠 박지윤에게도 3000만원이 돌아가도록 했다.
최민정은 당초 개인전 포상금 1억5000만원, 단체전 포상금 3750만원을 합산한 총액 1억8750만원을 받을 예정이었다. 그중 단체전 포상금 750만원을 덜어 박지윤에게 돌아갈 3000만원에 할애했다.
스피드스케이팅 은메달리스트 차민규와 정재원은 5000만원씩, 같은 종목에서 동메달을 차지한 이승훈과 김민석은 3000만원씩의 포상금을 수령한다. 메달을 차지하지 못했지만 한국 남자 피겨스케이팅 사상 최고 순위인 5위에 오른 차준환도 300만원의 포상금을 받아 의미를 더하게 됐다.
윤홍근 대한빙상경기연맹 회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운 시기에 올림픽을 통해 대한민국 국민에게 기쁨과 감동을 준 빙상 국가대표 선수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