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야권 단일화에 합의하면서 인수위원회부터 공동정부를 구성할 계획이다.
안 후보가 윤 후보의 실질적인 국정운영 파트너가 된다는 뜻이다.
그러나 대선 이후 본격 추진될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간 합당은 쉬운 문제가 아니다. ‘지분싸움’ 등 난항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6월 지방선거 공천 등 갈등의 지뢰들이 여기저기 깔려 있다.
윤 후보와 안 후보는 3일 단일화를 선언하면서 인수위를 시작으로 ‘국민통합정부’를 구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안 후보 측 단일화 협상 채널이었던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은 서울 여의도 당사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양 후보가 공동정부의 구성부터 운영과 정당의 문제까지 해서 꽤 많은 부분에서 의견의 합치를 봤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수위에서 국정 비전과 철학, 국정 과제들을 선정하고 (국정운영) 로드맵을 만들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내각을 구성하는 문제도 같이 논의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 후보가 정권교체 후 국무총리직 등을 직접 맡아 국민통합정부에서 실질적인 국정 파트너 역할을 하는 방안에 힘이 실리고 있다.
다만 안 후보는 “제가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 게 국민께 정말 도움 되는 일인지 그리고 우리나라가 한 단계 앞서서 나갈 수 있는 일인지에 대해 솔직히 좀 더 고민이 필요하다“면서 “여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안 후보가 입각을 하지 않고 대선 이후 합당으로 탄생할 새 정당에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차기 대선을 노리는 안 후보 입장에서는 당내 입지를 확실하게 다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합당 방식과 주요 당직 배분, 당협위원장 임명 등을 놓고 갈등이 폭발할 가능성이 있다. 지난해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이후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간 합당 논의가 무산됐던 것은 반면교사다.
특히 안 후보와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간 껄끄러운 관계도 변수다.
이 대표는 벌써 합당 주도권 선점에 나섰다. 그는 국민의힘 대구시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양당 합당과 관련해 “흡수합당 형식으로 합당 절차를 밟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당명 변경에 대해서는 “국민의힘이라는 정당이 대선에서 승리하면 브랜드 가치로는 상당한 가치를 갖게 된다”면서 “(당명을 바꿀) 계획없다”고 선을 그었다.
6월 지방선거 공천 문제도 뇌관이 될 수 있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대선에서 이긴다면 공천 경쟁이 더욱더욱 치열할 텐데 국민의힘 출신과 국민의당 출신 간 갈등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