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 10명 중 3명 이상이 사전투표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3일 조사됐다.
국민일보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지난 28일부터 1일까지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3월 4~5일 사전투표 기간에 투표하겠다’고 밝힌 응답자는 31.1%로 집계됐다.
‘3월 9일 대선 당일에 투표하겠다’는 비율은 57.1%를 기록했다.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한 응답자는 11.8%로 조사됐다.
사전투표 의향과 관련해선 지지 후보와 지지 정당에 따른 차이가 분명했다.
특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지지층의 사전투표 의향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지층보다 두 배 높게 나온 것은 매우 특징적인 대목이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이 후보 지지층의 44.6%가 ‘사전투표일에 투표하겠다’고 답했다.
반면 윤 후보 지지층에서는 19.2%가 사전투표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또 민주당 지지층의 46.2%가 ‘사전투표 기간에 투표하겠다’고 답했다.
이에 비해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18.3%가 ‘사전투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민주당의 전통적인 지지층으로 간주되는 20~40대는 사전투표에 익숙하지만, 국민의힘의 주된 지지층인 노령층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0~40대의 사전투표 의향은 평균을 웃돌았다.
그러나 60세 이상에서는 응답자의 22.2%가 ‘사전투표 기간에 투표하겠다’고 답했다.
4·15 총선 당시 야권 일각에서 제기됐던 이른바 ‘부정선거 의혹’이 보수 유권자들에게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도 있다.
신율 명지대 정외과 교수는 “유튜브 등을 통해 사전투표 부정 의혹이 지속적으로 거론되면서 사전투표보다는 본투표를 선호하는 현상이 국민의힘 지지층 사이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 교수도 “일부 보수 유권자들이 사전투표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며 “본투표 당일에 안전하게 투표하겠다는 심리가 작동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보수 지지세가 강한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사전투표 의향은 각각 24.1%, 22.4%로 평균을 밑돌았다.
윤 후보가 지난 28일 “재작년 4·15 총선에서 부정(선거) 의혹이 있다고 생각하는 분이 많은 걸로 아는데, 국민의힘에서 이번에 공명선거감시단을 발족해 철저하게 감시하겠다”고 약속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이번 국민일보 여론조사는 통신사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해 전화면접조사(무선100%)로 진행됐다.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15.5%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표본은 올해 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에 따른 성·연령·지역별 가중값 부여(셀가중)로 추출했다. 이 밖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