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조기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자영업자, 의료계 등의 의견을 수렴한 후 이르면 오는 4일 거리두기 조정안이 발표될 가능성도 있다.
사적모임 가능 인원 6명, 식당 등 영업시간을 오후 10시로 제한한 현행 거리두기 조치의 시한은 오는 13일까지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 반장은 2일 정례 브리핑에서 “오미크론의 빠른 전파력을 고려할 때 유행 확산 차단을 위한 거리두기 강화의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손 반장은 “현재로서는 확진자 자체를 억제하기보다는 중증·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와 함께 실질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2~3일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및 산하 방역의료분과위원회를 열고 현재 방역상황에 대한 평가와 거리두기 조정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 손 반장은 “방역의료분과 전문가를 비롯해 관계 부처와 지자체, 자영업, 소상공인 등 여러 의견을 두루 듣고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도 이날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해 현재 방역상황을 면밀히 분석하면서 오미크론 대응 목표의 관점에서 조정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모아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현행 거리두기가 종료되는 오는 13일 전 영업시간 및 사적모임 인원 제한이 완화될지 여부와 완화 수준이 주목된다. 전날부터 방역패스가 잠정 중단된 데 이어 거리두기까지 대폭 완화될 경우 정부가 그간 유지해 온 방역정책이 사실상 대부분 해제되는 것이다.
정부는 앞서 국내외 연구기관의 분석을 토대로 코로나19 오미크론 유행의 정점을 3월 초중순쯤으로 예상했다. 오는 9일 확진자가 23만명에 도달할 것이란 관측도 나왔다. 하지만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수는 21만9241명으로 집계돼 예상보다 유행 정점 시기가 빨라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방역 당국은 확진자 수가 늘고 있지만 매주 확진자가 2배씩 증가하던 것에 비하면 증가율은 둔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이번 주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증가율 둔화가 보편적인 상황인지, 이례적인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