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리, 방역패스 중단에 “득·실 냉철히 따진 결론”

입력 2022-03-02 09:36 수정 2022-03-02 10:25
김부겸 국무총리가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부겸 총리는 2일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 잠정 중단 관련 논란에 대해 “오미크론 대응에 있어 득과 실을 냉철하게 따져보고 내린 결론”이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아진 백신접종률 속에서 여러 건의 법원 판결로 현장의 혼선이 누적된 점 등을 고려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대선을 열흘도 채 안 남긴 시점에 방역패스를 중단한 것이 선거를 의식해 서둘러 내린 조치라는 의혹이 일각에서 제기되자 김 총리가 직접 해명에 나선 것이다.

김 총리는 현재 오는 13일까지 적용하게 돼 있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도 조기에 조정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무엇보다 지금은 보건소의 행정부담을 줄여 그 역량을 고위험군 보호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이 컸다”면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해서도 현재의 방역상황을 면밀히 분석하면서 오미크론 대응 목표의 관점에서 조정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모아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예방접종의 중요성이 떨어진 것은 결코 아니다. 예방접종은 여전히 오미크론에 대응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무기”라면서 백신 접종을 독려했다.

김 총리는 코로나19 확산세가 누그러지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확산세가 정점을 향해 빨라지면서 매주 2배가량 확진자 수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도 조금씩 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이번 3월에 우리가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2년간에 걸친 이 지긋지긋한 코로나19와의 싸움이 좋은 결과로 이어지고 소중한 일상을 회복할 수 있을지를 정하는 기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