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고 나면 코스피지수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선 전 3개월간 부진하던 주가는 선거일 1년 후 오르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새 정부가 대대적으로 투자를 늘리는 핵심 산업 관련 종목들은 큰 폭으로 뛰었다. 오는 9일 치러질 20대 대선 결과에 따라 2023년 코스피의 양상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증권사들은 대선을 일주일 앞둔 2일 이후 국내 증시를 전망하는 보고서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유진투자증권이 최근 발간한 ‘2022년 대선 이후, 한국 금융시장은 어디로 가는가?’ 리포트에 따르면 1992년부터 치러진 총 6번의 대선 1년 뒤 코스피는 4차례 상승, 1번 하락·보합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영삼 정부(30.8%), 김대중 정부(25.4%), 노무현 정부(14.4%), 문재인 정부(6.6%)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고, 박근혜 정부 때는 0.9% 소폭 하락했다. 이명박 정부 수립 일 년 후인 2008년 말에 유일하게 폭락(-36.6%)했다. 그해 미국을 중심으로 벌어진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이 컸다.
대선 이전 눌려있던 주가는 주로 선거가 끝나고 일정 기간이 지난 뒤 올랐다. 시장을 위축시키던 불확실성이 사라지고 정부·기업의 투자가 늘어나는 영향으로 풀이된다. 김성근·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임기 1년 차에는 수익률이 들쑥날쑥하지만 정부가 정책을 안정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2년 차는 다르다. 주식시장은 대개 긍정적으로 반응한다”고 말했다. 다만 중소형주 위주의 코스닥은 대선이 끝나도 오르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개별 업종을 들여다보면 대선 효과는 한층 부각된다. 새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산업은 막대한 수혜를 볼 수밖에 없다. 한국투자증권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당선 시 친환경과 게임주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 후보는 탄소세 도입과 기후에너지부 신설 등을 공약했다. 게임계의 이슈인 P2E(Play to Earn·P2E) 비즈니스 등에 관해서도 경쟁 후보들보다 긍정적이다.
반면 규제 완화를 전면에 내세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되면 원전·산업재·소재 업종이 유리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윤 후보도 탄소중립을 이야기하지만 그 수단으로 원자력 발전을 강조한다. 산업재·소재 기업은 중대재해처벌법 완화가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메가트렌드 산업에 속한 종목은 대선 결과와 무관하게 부상할 것으로 관측된다. 디지털 전환, 벤처·스타트업, 리오프닝(방역완화) 관련 주들이 대표적이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어떤 후보가 당선되든 디지털과 스타트업, 탈탄소 분야 지원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방극렬 기자 extre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