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레이 쿨릭 주한러시아 대사는 28일 우리 정부가 국제사회의 대러 제재에 동참하는 데 대해 “깊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쿨릭 대사는 이날 오후 서울 주한러시아대사관에서 연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기자회견에서 “한국 정부가 이런 제재에 동참하는 것이 기쁜 소식이 아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쿨릭 대사는 “한국이 국익을 생각하면 대러 제재에 동참할 이유가 없다”며 “제재를 하도록 하는 유일한 요소가 있다면 대한민국이 지금 받고 있는 강력한 외부 영향”이라고 말했다. 한·미 관계를 의식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그러면서 “한국이 이런 압력에 항복해서 제재에 동참했다면 우리의 양자관계가 발전하는 추세가 바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수교 이후) 30년 동안 러시아와 한국 간의 관계는 긍정적으로만 발전해왔는데 협력의 수준이 올라가는 추세가 이제 방향을 바꿀 것 같다”며 “신북방정책 덕분에 양자관계가 잘 발전해 왔는데 요즘 벌어지고 있는 상태가 유감스럽다”고 주장했다.
특히 가스·철도·전기 등의 분야에서 추진돼온 남·북·러 3각 협력 사업을 거론하며 “러시아에 가해진 경제제재는 이 프로젝트 추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 명백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남·북·러 협력 프로젝트는 사실 핵 문제 해결, 남북관계, 한반도 평화와 안보, 번영확립 등과 긴밀히 연관돼 있다. 그런 생각을 하면 한국이 정말 이 모든 것을 필요로 할까에 대해 의심이 든다”고 주장했다.
그는 회견 모두발언에서 국제사회의 대러 제재에 동참하는 국가들이 “러시아 양자관계에 상당한 피해를 줄 뿐 아니라 서방국들이 지금 하고 있는 불법 행동에 동참하는 것을 확실히 인식해야 한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또 우크라이나 침공이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확장에 따른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는 러시아 측 주장을 반복했다.
그는 “미국과 나토는 나토의 비확장을 추구할 러시아의 권리를 부정하고 있다. 동맹을 맺을 자유를 최우선 순위에 놓고 다른 국가의 안보를 침해하지 않아야 하는 조건을 완전히 무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