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대외위기 상황에 대비해 지역 경제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에 나선다.
부산시는 28일 오후 시청에서 ‘긴급 현안 회의’를 열고 ‘비상 대응 지원단’을 설치·운영기로 했다고 밝혔다.
비상 대응 지원단은 김윤일 경제부시장을 단장으로 경제상황점검반과 비상대책지원반 등 2개 반과 피해기업지원센터로 구성된다.
부산의 대러시아, 우크라이나 교육 규모는 수출의 2.3%, 수입의 5.44%를 차지하고 있다. 당장 특이 동향이나 이상 징후가 나타나고 있지 않지만, 사태가 심화·장기화하면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채산성 악화 등으로 지역 기업의 피해가 우려된다.
이에 경제상황점검반은 피해기업 현황 등 지역경제 전반의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비상대책지원반은 공급망 대체선 확보와 긴급 특례보증, 경영자금지원 등 피해 기업에 대한 실질적 대책을 마련한다.
부산경제진흥원에 설치되는 피해기업지원센터는 전담 인력을 새롭게 꾸려 수출·입 피해기업 신고 접수 등을 담당한다.
부산시는 앞으로 사태가 장기화해 지역경제 상황이 나빠지면 시장이 총괄하는 비상경제대책회의를 통해 비상 대응 컨트롤타워를 한 단계 격상할 방침이다.
김 경제부시장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당장 피해는 없지만, 상황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 등으로 지역 기업들의 우려가 높은 상황”이라며 “중앙부처, 관계기관, 산업 현장과 긴밀한 공조해 기업 운영에 어려움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부산상공회의소와 부산경제진흥원, 부산테크노파크, 부산연구원, 부산경총, 부산중기중앙회, 한국무역협회 부산지역본부,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코트라 부산지원단, 한국무역보험공사 부산지사, 한국수산무역협회 부산지부, 부산경남자동차부품기술사업협동조합, 부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 등 상공계와 관계기관, 산업별 대표들이 참여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