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단체가 지난 25~27일 ‘24시간 영업 투쟁’에 나섰다. 벌금을 내더라도 한계 상황이라는 점을 알리겠다는 취지였다. 실제 정부가 지난해 말 단계적 일상회복 조치로 거리두기 단계를 완화했다가 한 달여 만에 강화하자 외식업 매출이 큰 폭으로 널뛴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농림축산식품부·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빅데이터 활용 외식업 경기분석’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11월 외식업 매출액은 9조9497억원으로, 2021년 한 해 중 가장 많았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1조9155억원(23.8%) 증가했고, 점포당 매출액 역시 1403만원으로 21.4% 늘었다. 이는 11월 1일부터 시행된 일상회복 조치 덕분이다. 당시 수도권 10명, 비수도권 12명으로 모임 규모가 완화됐고 유흥시설을 제외한 업종의 영업시간 제한 조치도 사라졌다. 방역을 완화하자마자 외식업자들의 숨통이 트인 셈이다.
이후 오미크론이 등장하면서 방역이 강화되자 12월 외식업 매출은 다시 곤두박질쳤다. 방역 조치는 6일부터 수도권 6인, 비수도권 8인으로 모임 기준이 강화됐고, 18일부터는 모임 4명, 영업시간 오후 9시로 제한됐다. 그러자 12월 외식업 매출액은 9조8183억원으로 전월 대비 1314억원(1.3%) 감소했다. 통상적으로 12월은 연말 특수로 1년 중 매출액이 가장 많은데, 오히려 11월보다 매출이 줄어든 것이다.
특히 영업시간 제한 여파로 주점업종의 매출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생맥주 전문점 매출액은 513억원으로 전월 대비 31.1% 감소했고, 무도유흥주점은 21.8%, 기타 주점은 23.8% 줄었다. 반면 배달앱 매출은 21.6% 증가한 1조6328억원을 기록했다. 외식업 중에서도 업종에 따라 거리두기 강화 영향이 제각기 다르게 나타난 것이다.
김삼희 한국외식산업연구원 연구실장은 “거리두기 조치가 강화되면 이에 비례해서 매출은 줄었다. 정부가 거리두기 단계를 올릴 때 외식업자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한 적이 없다”며 “자영업자 단체의 시위 역시 벌금을 내는 것보다 장사하는 게 낫다는 판단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 정부가 거리두기 단계를 조정할 때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 매출 변화에 대한 분석을 참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오윤해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오후 9시나 10시로 영업시간 제한을 했을 때 소상공인, 자영업자 매출 변화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며 “정부 거리두기 정책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함께 고려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