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측이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측과 야권 단일화 협상 과정에서 윤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안 후보와 인사권을 공동으로 행사하는 방안을 제안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차기 정부에서 안 후보의 지위는 안 후보가 스스로 선택하는 방안을 제시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국무총리·장관 등 기존 제도의 직위를 뛰어 넘어, 예를 들어 ‘코로나19 대응위원장’, ‘미래과학위원장’, ‘국민통합위원장’ 등 특별한 지위를 신설해 안 후보가 맡는 방안도 논의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안 후보가 신설된 자리를 맡을 경우 정부조직이 안 후보의 역할을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이 제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안 후보를 극진히 예우하면서 공동정부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방안이 깊숙이 논의됐다는 것이다.
윤 후보 측 핵심 관계자는 28일 “안 후보 측에게 제안했던 공동정부 구상은 단순히 국무총리와 장관 몇 자리를 주는 ‘지분 나눠먹기’ 수준을 훨씬 뛰어넘는 것이었다”면서 “윤 후보와 안 후보가 인수위원회부터 인사권을 공동으로 행사하는 방안이 제시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윤 후보와 안 후보 모두 이 방안에 동의했다가 안 후보가 갑자기 협상 결과를 틀었다”고 고 주장했다.
다른 관계자는 “차기 정부 인사에서 윤 후보와 안 후보 중 한 명이라도 반대하는 인물은 기용하지 않는 방안을 명문화하는 방안도 합의 직전까지 갔다가 무산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우리나 안 후보 측이나 인력풀이 한정돼 있다”면서 “이에 따라 좋은 인재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하자는 얘기까지 나온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윤 후보 측 장제원 의원과 안 후보 측 이태규 선대본부장이 지난 26∼27일 이 같은 내용을 위주로 단일화 협상을 진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윤 후보 측은 안 후보가 막판에 합의를 무산시킨 데 대한 실망감과 불만을 감추지 않았다.
윤 후보 선대본부 관계자는 “안 후보가 협상 진전 상황을 다 알고 있었으며, 사실상 ‘오케이’ 했다”면서 “그러나 최종 발표 내용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협상 테이블을 엎은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