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尹 자위대 망언”…국힘 “李 우크라 폄하” 난타전

입력 2022-02-28 12:08 수정 2022-02-28 13:31
국민일보DB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TV 토론에서 나온 안보관 관련 상대 후보의 발언에 대해 집중 공세를 펼치며 난타전을 벌이고 있다. 민주당은 윤석열 후보의 ‘유사시 일본의 한반도 개입’ 발언을, 국민의힘은 이 후보의 ‘우크라이나 전쟁은 대통령 책임’ 언급을 집중 부각하는 모습이다.

국힘 “이재명 우크라 발언, 국제적 망신”
권영세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장은 28일 선대본부 회의에서 이 후보를 ‘국제적 유명인사’로 규정하며 맹비난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장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선거대책본부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권 본부장은 “우크라이나 상황을 보면 정말 가슴이 아프고 러시아 침공을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 상식을 지닌 국민이라면 모두 같은 심정일 것”이라며 “하지만 이 후보는 참혹한 전쟁마저도 선거용 선전 선동에 악용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초보 정치인 대통령이 러시아를 자극해 전쟁이 발생했다는 이 후보의 발언과 코미디언 출신 대통령이라고 폄훼한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등 민주당 인사들의 발언은 도대체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며 “이 후보의 해석대로라면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을 자극해 미사일을 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후보 발언이 해외까지 알려져 국제적 유명인사가 됐다”라며 “해외 누리꾼들이 분노하고 외신들까지 비판 대열에 나섰다. 부끄러움은 온전히 국민의 몫”이라고 성토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이 후보는 국제적으로 부끄러운 후보”라며 “세상이 모두 러시아의 잘못을 가리키는 와중에 혼자 윤 후보 한번 공격하겠다는 생각으로 우크라이나 탓을 하다가 국제사회에 안 좋은 쪽으로 유명해지게 생겼다. 글로벌 조커가 되시려나 보다”고 비꼬았다.

이날 올린 또 다른 글에서는 “이 후보를 지키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국제사회에 어떻게 비치느냐의 문제”라며 “민주당이 이성을 찾기를 (바란다)”고 적었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 25일 열린 TV토론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를 언급하면서 “6개월 된 초보 정치인이 대통령이 돼 나토(NATO)가 가입을 해주려 하지 않는데 가입을 공언하고, 러시아를 자극하는 바람에 충돌했다”고 발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폄하하고 전쟁의 책임을 우크라이나 측에 돌린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았다.

與 “윤석열, 한·일 관계 기본도 없어”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총괄선대위원장과 윤호중 공동선대위원장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은 윤 후보가 “유사시에 (일본 자위대가 한반도에) 들어올 수 있는 것”이라고 한 발언에 대해 공세를 높이고 있다.

윤호중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윤 후보의 ‘자위대 발언’을 부각하며 십자포화를 퍼부었다.

그는 “윤 후보의 자위대 진입 허용 망언이 국민의 분노를 자아냈다. 이번 망언은 순국선열의 희생을 부정하고, 역사를 모욕하는 발언”이라며 “공당이라면 후보의 발언을 즉각 철회하고, 국민께 사죄하는 게 도리인데 고소로 맞대응하더니 국민과 싸우자는 것이냐. 대체 어느 나라 정당이냐”고 따져 물었다.

국민의힘이 이 후보가 윤 후보의 발언을 왜곡했다며 법적 조치 가능성을 꺼내든 점을 역공한 것이다.

윤 원내대표는 “내일이면 3·1운동 103주년이다. 한·일 관계 기본조차 정립되지 않은 후보가 대통령이 돼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낙연 민주당 총괄선대위원장도 같은 자리에서 윤 후보의 안보관을 지적하고 나섰다. 그는 “평화와 안보에 대해 정리된 생각이 없는 후보는 불안할 수밖에 없다”며 “평화와 안보는 더 깊은 사색과 준비가 필요하다. 벼락공부로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윤 후보의 이 발언도 지난 25일 대선 토론회 당시 나온 것이다. 윤 후보는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로부터 ‘한·미·일 군사동맹에 참여, 유사시에 일본이 한반도에 개입하게 하실 생각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아직 그런 것을 가정할 수는 없지만, 북핵이 점차 고도화돼 굉장히 위협 강도가 강해지게 되면 사드를 추가 배치할 수 있다고 말씀드렸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한·미 미사일 협력이 더욱 강화돼야 할 필요는 있지만, 우리와 일본 사이 군사동맹까지 가야 하는지 그런 상황까지 오지 않았기 때문에, 그러나 그걸 안 한다고 우리가 중국에 약속할 필요는 없지 않나”라고 말했다. 이어 “가정적인 사항이니까 지금은 그런 이야기를 할 때는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한·미·일 동맹이 있다고 해서 유사시에 들어올 수 있지만, 꼭 그것을 전제로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