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가 초·중·고교 개학을 이틀 앞둔 28일 “정부는 다소 어려움이 있더라도 전면등교를 포기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학교에 자가진단키트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등 개학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며 집단감염에 대한 걱정과 불안을 안고 있는 학부모들을 다독였다.
김 총리는 이날 페이스북에 “오미크론 확산세가 거세고 정점이 임박한 만큼 정점을 지나 확산세가 진정될 때까지만이라도 개학을 늦추는 방안을 고민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그는 “학부모님들의 걱정이 크다는 점 잘 알고 있다”면서도 “학교는 수업과 학습만 있는 곳이 아니다. 아이들이 친구들을 만나고 사회생활을 몸으로 익혀가는 공간이다. 우리 사회의 다른 삶의 공간처럼 학교도 유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학교마다 제각각의 등교 방식이 나온 것에 대해선 “도시와 농촌이 다르고 대도시 안에서도 교실 밀집도와 전체 학생 수, 급식 환경, 학생들의 동선 등에서 학교의 사정이 제각각 다르다”며 “오미크론 확산세도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델타 변이의 위험이 최고조인 상태에서도 정상적으로 학교생활이 유지된 작은 학교들이 여럿”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 차이를 무시하고 정부가 일방적으로 학교 문을 열어라, 닫아라 명령하는 것은 합리적이지도 않고 책임지는 자세도 아니다”고 강조했다. 학교별로 서로 상황이 다른 만큼 정부가 일괄적으로 등교 여부를 적용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는 설명이다.
김 총리의 이 같은 발언은 갑작스러운 통보를 받은 학부모들의 원성이 커진 상황을 의식한 발언으로 보인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7일 전면등교 원칙을 밝혔으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급증하자 2주 만에 ‘학교재량’으로 변경했다. 개학 후 2주간은 학교가 탄력적으로 원격수업을 하도록 권고한다. 일선 학교는 설문조사를 통해 결정하고 있고, 비교적 빨리 대응한 학교도 지난 25일에나 정상등교 여부를 통보했다. 아직 결정을 못 내린 학교도 여럿이라 학부모들의 불만은 커지고 있다.
김 총리는 마지막으로 “지금 전국의 모든 선생님은 최대한 전면등교를 유지하겠다는 굳은 결심으로 개학을 준비하고 있다”며 “학부모님 여러분께서 그분들에게 함께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조언과 격려를 해주시면 고맙겠다”고 협조를 재차 당부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