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17년생인 만 3세 아동에 대한 학대 전수조사를 마쳤다. 총 4건의 학대 의심 정황을 발견해 사례관리에 착수했다.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은 지난해 기준 만 3세 아동(2017년생) 가운데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지 않는 2만6251명에 대한 전수조사를 마쳤다고 27일 밝혔다.
전수조사 결과 학대 의심 사례는 모두 4건 발견됐다. 아동학대전담공무원과 아동보호전문기관 담당자 등이 사례를 조사한 결과 3건에서 학대 정황이 확인됐다. 복지부는 곧바로 피해아동 보호계획을 수립하고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례관리에 나섰다. 나머지 1건은 조사가 진행 중이다. 조사 과정에서 13명 아동의 소재가 파악되지 않았는데, 경찰 수사 끝에 13명 전원의 소재와 안전이 확인됐다.
전체 조사대상의 약 1.5%에 해당하는 383명의 아동에게는 필요한 복지서비스도 연계됐다. 부모가 이혼한 다문화가정의 아이가 한국어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확인해 다문화가정 방문언어 등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초주거급여 등 복지서비스를 안내했다. 부모의 잦은 폭언과 불규칙한 소득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아동에게도 기초생활보장 수급 신청을 안내하고 적극적으로 사례 개입에 나섰다.
이번 조사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이 점검대상 아동의 거주지를 직접 방문해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다만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직접 방문이 어려운 경우는 아동의 백신 접종 증명이나 아동과의 영상통화 등을 통해 확인하는 방식도 병행됐다.
김교태 경찰청 생활안전국장은 “학대피해 아동은 스스로 신고가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라 시민들의 각별한 관심과 인식이 필요하다”며 “아동학대 근절을 위해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