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2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책임이라는 취지의 발언과 관련해 “일제 침략을 정당화하는 것과 다를 게 없다”고 일갈했다.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러시아에 줄서지 않고 나토에 가입하려 했다는 이유로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비난하고 러시아 침략을 정당화하는 생각”이라고 이같이 비판했다.
그러면서 “일본에 줄서지 않은 조선왕실 때문에 일제강점기가 왔고 일본의 침략은 정당화되는 이야기랑 다를 것이 뭔가”라고 물었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 2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2차 TV토론에서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6개월 된 초보 정치인이 대통령이 돼서 나토가 가입을 해주려 하지 않는데 가입을 공언하고 러시아와 충돌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대표는 이에 “우크라이나의 젊은 군인들은 항복을 거부하고 끝까지 싸우다가 전사했다고 한다”며 “그들에게 투영되어야 하는 것은 일제강점에 맞서던 의병과 독립군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는 타임머신을 타고 구한말로 가면 일본의 침략원인을 고종과 조선의 무능이라고 칭하면서 의병으로, 독립군으로 싸우는 우리 조상들을 훈계할 생각인가”라고 따져물었다.
또 “민주당은 홍콩민주화운동을 외면했던 것처럼, 이번 러시아의 침략도 우크라이나 탓으로 돌리며 미화하려나 보다”라며 “적어도 정치지도자는 장사치가 아니라 민주주의와 인권을 최우선의 가치로 삼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25일 대선 후보 토론에서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한 안보관을 두고 이재명 후보는 ‘평화 리더십’을, 윤석열 후보은 ‘강한 억지력’을 내세우며 갑론을박을 버렸다.
이 후보는 “무력으로 억지해서 전쟁에서 이기는 건 하책”이라며 “다 부서지고 죽고 이기면 뭐하나? 우크라이나 심각하지 않나. 중요한 건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고 더 중요한 건 싸울 필요가 없게 만드는 평화”라고 주장했다.
윤 후보는 “평화는 힘에 의한 상대의 도발에 대한 억지력에서 나오는 것”이라며 “우리가 1950년도에 북한의 침략에 대해 군사력으로 억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면 6·25와 같은 참극을 겪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이주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