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25일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와 심상정 정의당 후보의 대통령 권력 분산 공약에 대해 “전적으로 공감한다”면서 “저와 (생각이) 거의 다른 게 없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향후 대선 과정에서 연대와 협력을 의식해 안 후보와 심 후보에게 ‘생각이 다르지 않다’는 메시지를 반복해 던졌다.
그러나 심 후보는 “말보다 실천이 중요하다”며 이 후보에 냉랭한 반응을 보였다. 안 후보도 이 후보를 향해 “(권력 분산 관련 이 후보의 대답이) 곁다리만 돈 것 같아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한 두 번째 TV 토론회에서 권력 분산 방안에 대해 “정치가 정치인을 위한 정치를 하는 게 가장 심각한 문제다. (거대) 양당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구조를 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저는 심 후보와 안 후보의 말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비례제를 비롯한 선거제 개혁 통해 제3의 세력이, 각 정치 세력이 정치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통합 정부, 국민 내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심 후보는 토론에서 제왕적 대통령제 개편과 총리 국회 추천제, 다당제 등을 공약했다. 안 후보도 분권형 대통령제와 대선 결선 투표제, 중대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 도입을 언급했다.
대선을 12일 앞둔 시점에서 이 후보는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 박빙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다. 이 후보는 상황 반전을 위해 다당제를 포함한 정치개혁안을 발표하며 소수정당과의 민심 단일화를 꾀하는 상황이다.
이 후보가 그 연장선에서 안 후보, 심 후보와 비슷한 정치개혁 구상을 갖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심 후보는 “민주당이 내놓은 정치개혁 방안은 새로운 게 아니고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이 계속 공약으로 냈지만 실천이 안됐다”며 “이번 대선에서 득실을 따지고 이를 이용할 생각하지 말고 민주당의 정체성 회복 차원에서 꼭 실천하라”고 쏘아붙였다.
안 후보는 이 후보에 대해 “개헌 이전에 할 수 있는 대통령 권력분산 방법은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이 후보는 “국회의 기능을 강화하고, 감사원을 국회로 옮기겠다”고 답했다.
이에 안 후보는 “이 후보가 제가 물어본 것 자체에 대한 답을 안했다”며 “청와대 비서관이 우리나라 전체를 운영하는 기형적인 행태를 고쳐야 한다. 그것이 정상화인데, 그런 대답을 안해 실망스러웠다”고 지적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