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원전이 지속 운영되는 향후 60여 년 동안은 원전을 주력 기저 전원으로서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동시에 신한울 1, 2호기와 신고리 5, 6호기의 조속한 정상가동을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25일 청와대에서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현안 점검회의’를 열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원전의) 적절한 가동률을 유지하면서 안전성 확보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회의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불안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안정적인 전력 공급 기반 확충을 위해 국내 원전의 실태를 점검하는 취지에서 열렸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회의 내용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에너지원으로서 원전이 지닌 장점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원전 밀집도가 세계 최고”라며 “특정 지역에 밀집되어 있어 사고가 나면 그 피해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에너지믹스 전환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은 신규 원전 건설 중단, 수명이 다한 노후 원전의 수명 연장 금지 등을 2084년까지 장기에 걸쳐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신한울 1, 2호기와 신고리 5, 6호기는 포항과 경주의 지진, 공극 발생, 국내 자립기술 적용 등에 따라 건설이 지연됐다”며 “그간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기준 강화와 선제적 투자가 충분하게 이뤄진 만큼 가능하면 이른 시간 내에 단계적 정상가동을 할 수 있도록 점검해달라”고 주문했다.
원전에 대한 세계적 기술력 확보와 원전 수출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원전에 있어 세계적인 선도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원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원전해체 기술, SMR(소형모듈원전) 연구, 핵융합 연구도 속도를 내는 한편, 사용후핵연료 처리 방침도 조기에 검토해 결론을 내 달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각국은 자국의 사정에 따라 에너지믹스를 선택하고 있으며, 원전이 필요한 국가들이 한국의 기술과 경험을 높이 사서 우리 원전의 수입을 희망하고 있으므로 원전을 수출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고 말했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