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농촌에서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여유를 되찾는 치유농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준비에 나섰다.
도는 2022년을 제주형 치유농업 기반 조성의 해로 삼고 거점센터 구축과 치유농장 조성, 전문가 양성 등 관련 핵심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단순 즐길거리를 넘어 의료 및 관광산업과 연계한 제주형 치유 프로그램을 새롭게 안착 시킨다는 구상이다.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농촌에 일자리를 만들고 활기를 불어넣을 방편이 될 것으로도 기대된다.
도는 지난해 농촌진흥청이 주관한 ‘2022 치유농업센터 구축 공모 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국비 10억원을 확보, 서귀포시 남원읍 하례리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부지에 치유농업센터를 구축한다.
센터는 총 498.88㎡ 규모로 치유과학실과 원예 체험장, 커뮤니티 공간, 힐링 치유 코스 등이 조성된다. 2023년 완공되면 치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제주형 치유농업의 구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치유농업을 이끌 전문인력도 육성한다. 도는 도 농업기술원이 지난해 2급 치유농업사 양성기관 공모에 선정돼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함에 따라 올해 2급 치유농업사 40명과 치유농업시설운영자 40명 등 80명을 양성할 예정이다. 지난해 1회 자격시험에선 4명이 합격했다.
앞서 도가 교류형, 체험형, 휴식형, 치유형 등 5개 유형의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개발해 시범 운영한 결과 참여자들의 스트레스가 29% 경감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제주도 관계자는 “제주형 치유농업 육성으로 농업과 농촌의 다원적 가치를 확산하고 지역 공동체 상생 협력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도시화 등으로 사회적 피로도가 증가하면서 농촌 자원을 활용한 치유농업이 이른 바 ‘녹색처방전’으로 불리며 관심이 커지고 있다. 네덜란드, 벨기에 등 많은 나라에선 농촌 곳곳에 치유농장을 육성해 도시민들의 건강 회복이나 사회적 약자의 재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치유농업의 범위는 채소와 꽃 등 식물 뿐만 아니라 가축 기르기, 환경 활동 등 산림과 농촌 문화자원을 이용하는 경우까지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20년 관련 법률이 제정됐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