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는 올해 105억원을 투입해 맞춤형 치안 정책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자치경찰 시행 2년 차인 올해 부산시자치경찰위원회는 공동체 치안, 사회적 약자 안전보호망 강화, 사람이 우선하는 교통환경 조성 등을 역점과제로, 본격적인 시민 중심의 맞춤형 치안 활동을 추진한다.
우선 ‘공동체 치안’을 통해 범죄와 사고가 없는 시민의 평온한 일상을 보장한다. 이를 위해 치안 리빙랩 등 주민참여형 정책을 추진하고 범죄예방 인프라 확충과 술 취한 사람·정신질환자 대응 체계를 고도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스토킹 피해자 보호와 지원 협의체 운영, 아이사랑 부모교육 등 관계기관 간 연계·협업을 통한 사회적 약자 보호 안전망도 한층 강화해나갈 예정이다.
교통 분야에서는 ‘사람이 우선하는 교통환경 조성’을 목표로, 사람이 안전한 교통문화 정착과 터널 구간단속(7억5000만원) 확대, 보행자 보호 스마트 경고시스템 운영(2억원) 등 교통문화 개선을 비롯한 교통 인프라 구축을 동시에 추진한다.
위원회는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개방형 실무협의회’를 개최하는 등 참여형 자치경찰을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정용환 부산시자치경찰위원장은 “올해부터는 시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맞춤형 치안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며 “2030 세계박람회 유치 등을 앞두고 안전이 부산의 경쟁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