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어쩌나…체르노빌 원전 인근 전투 “아직 피해無”

입력 2022-02-25 06:23
체르노빌 순찰하는 우크라이나군. AFP연합뉴스

체르노빌 원전 인근에서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의 교전이 벌어져 추가 피해 우려를 키웠다.

24일(현지시간) AP 통신은 이곳에서 벌어진 전투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첫날 가장 위험한 순간이었다고 지적했다.

1986년 폭발 사고가 일어난 체르노빌 원전은 반경 30㎞ 지역이 지금까지도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는 ‘소개 구역’으로 지정돼 특별 관리되고 있다. 2000년 이후 모든 원자로 가동이 완전히 중단된 체르노빌 원전은 벨라루스와의 국경에서 남쪽으로 16㎞,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에서 북쪽으로 약 130㎞ 떨어져 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실은 이날 러시아군과 교전 끝에 체르노빌 원전 시설 통제권을 잃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러시아군의 완전한 무차별 공격 뒤에 원전이 안전하다고 말하긴 어렵다”면서 “이는 현재 유럽에 대한 가장 심각한 문제 가운데 하나”라고 우려했다.

체르노빌 원전에 정통한 소식통은 AP에 “방사능 폐기물 저장소가 러시아의 포격에 맞았고, 방사선 수치가 올라가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다만, 방사선 수치 증가는 즉각 확인되지는 않았다고 AP는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날 성명을 내고 “우크라이나가 ‘미확인 무장 세력’이 출입금지구역 내에 있는 국영특화기업 체르노빌 NPP의 모든 시설을 장악했다고 알려왔다”며 “그러나 우크라이나 규제 당국은 체르노빌 원전과 관련해 해당 산업 지역 내에서 어떠한 인명 피해나 파괴는 없었다고 알려왔다”고 밝혔다.

체르노빌. AP연합뉴스 자료사진

IAEA는 이어 “우크라이나 규제 당국은 자국에서 가동되고 있는 원전들과 계속 연락을 유지하고 있으며, 해당 원전들이 안전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전해왔다”고 덧붙였다.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이 지역에 있는 원전 시설의 안전한 운영이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받거나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평화적 목적의 원전 시설에 대한 어떠한 무장 공격이나 위협은 유엔 헌장과 국제법의 원칙을 위반한 것이라는 2009년 IAEA 총회 결의 내용을 강조했다.

36년 전 폭발한 원자로 4호기에선 사고 직후 핵연료와 핵물질이 남아있는 원자로 위에 급하게 씌웠던 콘크리트 방호벽에 금이 가는 등 붕괴 우려가 커져 100년을 버틸 수 있는 철제 방호벽을 덧씌우는 작업을 했으며, 2019년부터 추가 방호벽이 가동에 들어갔다.

미국 고위 정보 관리는 러시아군의 체르노빌 장악은 수도 키예프로 진격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톤 게라셴코 우크라이나 내무부 장관 고문은 “체르노빌에 대한 공격은 우크라이나, 벨라루스는 물론 유럽연합(EU) 국가들까지도 방사능 먼지를 퍼뜨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러시아 측은 이날 체르노빌 인근 전투와 관련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