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문대통령 “우크라 침공 유감…경제제재 동참할 것”

입력 2022-02-24 16:15 수정 2022-02-24 17:21
24일 전북 군산시 현대중공업 군산 조선소에서 열린 군산조선소 재가동 협약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발언을 하고 있다. 군산=서영희기자 finalcut02@kmib.co.kr

문재인 대통령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무고한 인명 피해를 야기하는 무력사용은 어떠한 경우에도 정당화될 수 없다”며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무력 침공을 억제하고 사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경제제재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지지를 보내며 이에 동참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4일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오늘 오후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국가안보실장의 보고를 받고 다음과 같이 지시했다”며 문 대통령의 발언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국제사회의 계속된 경고와 외교를 통한 해결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감스럽게도 우크라이나에서 우려하던 무력 침공이 발생했다”며 “우크라이나의 주권 영토 보존 및 독립은 반드시 보장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 간 어떠한 갈등도 전쟁이 아닌 대화와 협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며 “관련 부처들은 긴장 상태를 유지하며 우리 재외국민의 안전 확보와 경제 및 기업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만반의 대비를 갖추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앞서 외교부도 이날 오전 “러시아가 어떠한 형태로든 전면전을 감행할 경우, 우리 정부로서도 대러 수출통제 등 제재에 동참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이 제재 동참을 선언한 것은 사실상 지금 상황을 전면전으로 본다는 뜻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전면전 여부를 우리가 규정할 필요는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상황이 진행되면서 국제사회의 제재 노력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부분이 있으면 우리도 동참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교민 안전확보 방안과 관련해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이송 때처럼 군용기를 보내는 방안에 대해선 “현지 비행금지구역 선포 등의 여건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라고 파악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그는 “다만 그동안 준비해 온 대로 교민 안전 대책은 착실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명진 기자 a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