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도민과 군산 시민들이 5년간 고대해 온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다시 가동된다. 내년 1월 본격 뱃고동이 울리면 그동안 극심한 경기침체를 겪었던 군산에 새로운 봄바람이 불 것으로 기대된다.
전북도와 군산시는 24일 군산조선소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현대중공업 등과 ‘군산조선소 재가동 관련 상호 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서는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 송하진 전북지사, 강임준 군산시장, 한영석 현대중공업 대표이사가 서명했다.
협약은 ‘2023년 1월 군산조선소 가동 재개, 물량 및 공정 단계적 확대, 향후 완전하고 지속적인 가동’과 ‘산업부, 고용부, 전북도, 군산시는 지속적인 군산조선소 가동을 위한 인력 확보 등 적극 지원’ 등이 주요 내용이다.
이날 협약으로 2017년 7월 가동 중단 이후 줄기차게 추진해 온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처음으로 공식화됐다. 군산조선소는 2023년 1월부터 연간 10만t 규모로 블록 제작에 돌입할 예정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모두 발언에서 “우리나라 조선 산업의 완전한 부활을 알리는 상징이 될 것”이라며 “군산의 봄소식을 임기가 끝나기 전에 보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군산조선소 재가동으로 전북지역과 군산경제가 살아날 것”이라며 “군산조선소 정상화를 위해서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현대중공업은 연내 군산조선소 시설 보수를 위해 약 1000억원을 투자하고 조선업 인력수급에 맞춰 점진적으로 블록제작 물량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최근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에 맞춰 LNG‧LPG 탱크도 군산에서 제작할 계획도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시설개선과 더불어 협력업체 모집도 조속히 추진할 예정이다. 앞서 현대중공업은 2017년 7월 조선산업 수주 어려움 등으로 군산조선소의 가동을 중단했다.
이날 협약에 따라 군산시와 전북지역 경제에 큰 활력이 불어올 전망이다.
군산시는 재가동 첫해인 2023년 연간 10만t 규모의 블록 제작을 위해 최소 600명에서 많게는 1000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른 지역 내 생산유발 효과는 약 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북도와 군산시는 크게 환영하고 재가동 지원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송하진 전북지사는 이날 비전 선포를 통해 “그토록 기다려왔던 군산조선소 재가동 소식을 전해드릴 수 있어 참으로 기쁘다”며 “전북의 조선산업이 재건되도록 노력하고, 문 대통령님이 말씀하신 ‘세계 1등 조선강국, 대한민국’의 길에 전북도도 적극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군산시는 가장 시급한 사안인 조선업 인력확보와 양성을 위해 나서기로 했다. 올해 산업부 조선업 생산기술 인력양성 사업에 600명의 전북 몫을 이미 확보했다.
강임준 군산시장은 “그동안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믿고 기다려준 시민들과 기업체 관계자에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군산조선소의 성공적인 재가동을 위해 물류비 지원과 인력양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군산=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