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옥상에 지은 광주 최초의 민관협력 태양광발전 시설이 준공됐다.
빛고을시민햇빛발전사회적협동조합은 “광주 광산구 첨단중앙로 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건물 6개 동 옥상에 설비 용량 598kW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이 완공돼 전기생산에 들어갔다”고 24일 밝혔다.
4인 가족 210세대가 1년간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발전량 786MWh 규모로 소나무 3만6000그루의 온실가스 저감효과와 맞먹는 연간 380t의 이산화탄소 감축이 예상된다.
20년생 소나무 1그루가 0.00276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 수치다.
발전시설 총사업비 8억원 중 2억원은 광주시민 53명이 시민펀딩에 참여해 마련했다. 2억원은 광주시가 투자했고, 4억원은 금융기관 여신이다.
광주시 교육청은 지난 9월 빛고을시민햇빛발전사회적협동조합과 협약을 체결하고 전자공고 옥상을 조합에 장기 임대했다.
학교 측은 유휴 부지(옥상) 임대료로 매년 1200만원을 지급받아 학교 발전 기금 등으로 활용한다.
조합은 임대료와 별도로 내년 3월부터 기후 위기 대응 환경교육 직접 지원비라는 명목으로 매년 600만원을 전기발전 수익금에서 떼어 학교에 지원할 계획이다.
발전소 운영 주체인 빛고을시민햇빛발전사회적협동조합은 지난 2020년 10월 조합원 380여명이 참여해 설립됐다.
정은진 협동조합 이사장은 “2045 탄소중립 실현과 RE100(100% 재생에너지 전기 조달)을 위한 시민적 관심이 필요하다”며 “각 학교에도 시민참여형 햇빛발전소를 더 많이 세워 기후 위기에 실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