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지자체 ‘잠시 멈춤’…코로나19 확산 예방

입력 2022-02-24 09:23

광주지역 공직사회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행정 공백 최소화에 진땀을 흘리고 있다. 공직자 중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선제적으로 ‘잠시 멈춤’을 선포하는 지자체가 늘고 있다. 확진자가 폭증할 때를 대비해 공무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비상계획’도 마련하고 있다.

23일 광주시와 5개 자치구에 따르면 최근 1주일간 국장급 간부를 포함해 50여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북구의 경우 각종 대면 회의와 대면보고를 사실상 중단했다. 외부인 초청 행사는 모두 연기하도록 했다.

북구는 지난 21일 긴급회의 열고 코로나19 (오미크론) 확산을 막기 위해 공적·사적 부문 거리 두기와 항원 검사 관리 등 3개 분야 특별방역수칙을 만들어 전체 직원들에게 공지했다. 각종 출장 자제는 물론 직원 간 만남을 최대한 자제하고 퇴근 후 사적 모임도 금지하도록 강력히 권고하는 내용 등이다.

광산구는 구정 핵심업무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점심시간 5부제 등 청내 확산 방지 대책과 함께 재난안전대책본부도 별도의 3개조를 편성해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재난안전대책본부에 코로나19 양성판정에 따른 결원이 발생하면 다음 조가 차례로 근무를 이어가는 방식이다.

20여명의 공직자가 코로나19 양성판정을 받은 동구와 서구, 남구도 자체 규정을 만들어 집단감염 예방에 총력전을 펴고 있다. 우선 동구는 3단계로 나눠 원격근무 시스템을 강화하고 부서별 재택근무를 늘렸다.

소수 확진자를 가정한 1단계는 팀장 중심으로 업무대행자를 지정해 격리직원의 모든 업무를 대행하도록 했다. 2단계는 부서장이 업무를 대신하면서 격리직원의 핵심·대민 업무만 맡도록 했다.

부서가 폐쇄되거나 업무가 마비될 정도의 위기상황을 염두에 둔 3단계는 타 부서로 발령을 받은 전임 근무자가 자신의 업무와 함께 핵심·업무를 대행하는 비상조치에 들어간다. 부서별 직원 간 출·퇴근 시간에 시차를 두거나 전화와 영상 등을 활용한 비대면 업무도 적극 추진하도록 했다.

서구는 공무원들이 전담하던 코로나19 확진자 정보안내 업무를 민간기업에 외주화해 구민 확진자 대처 등 민원업무 차질을 예방하고 있다.

남구는 직원 1일 확진자가 10명 이상 20명 미만이 되면 부서별 3분의 1, 20명이 넘으면 절반 이상이 재택근무에 돌입하도록 했다. 남구는 다수의 상점이 입주한 청사구조의 특성을 감안해 구내식당 이용도 일부 제한을 두고 있다.

광주지역 코로나19 확진자는 지난달 처음 1000명대를 기록하더니 지난 15일 2000명대에 접어든 이후 23일 하루에만 4136명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갱신하는 등 확산세가 날로 거세지고 있다. 공직자들도 잇따라 확진돼 행정·민원 업무에 입무 차질이 현실화되고 있다.

문인 광주 북구청장은 “공직사회에 오미크론이 확산돼 ‘잠시 멈춤’의 특단 조치를 내렸다”며 “행정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양한 대책을 준비해두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