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러시아의 에너지 무기화 전략에 대응해 전략비축유(SPR)를 재차 방출하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23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휘발유 가격 상승을 막기 위해 SPR의 또 다른 발표를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것은 확실히 테이블에 있는 옵션”이라고 말했다.
사키 대변인은 “세계 에너지 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맹 및 파트너와 함께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통신도 “바이든 행정부는 유가 급등에 대응하기 위해 동맹국과 협력, 다시 SPR을 공급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2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아직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다”면서도 “다른 국가와 SPR 방출량을 조정하는 방법 등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유가 상승 범위와 SPR 방출 효과 등을 분석하기 위한 모델링도 수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전날 “미국이 러시아에 광범위한 제재를 가하면 러시아는 석유 등 기타 에너지 자원 판매 제한으로 반격할 수 있다”며 “바이든 행정부는 이에 대비하기 위해 SPR 추가 방출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전날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에너지·공급망 측면의 수급 안정화 노력을 가속화하겠다”고 “에너지 수급 차질이 발생하면 정부가 보유 중인 9700만 배럴의 비축유를 방출하겠다”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해 11월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유가가 급등하자 한국과 중국, 인도, 일본 등과 협력해 SPR 방출을 결정한 바 있다. 이후 유가는 소폭 진정세로 돌아섰지만, 우크라이나 국경 주변의 군사적 긴장이 증가하면서 당시 가격을 돌파했다.
JP모건 체이스앤코는 브렌트유 가격이 올 2분기 배럴당 평균 110달러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전날 백악관 연설에서 “미국인들이 주유소에서 느끼는 고통을 줄이고 싶다”며 “에너지 공급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공급을 확보하고 가스 가격을 낮추기 위해 대형 산유국과 협력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