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방역도 위태한데, 축산 방역마저 ‘임계점’

입력 2022-02-24 07:01

코로나19에 이어 축산질병 대응 현장에서도 방역 체계 균열이 감지되고 있다. 1000여명에 달하는 농림축산식품부 방역 관련 현장 인력들이 업무 처우 개선을 호소한다. 파업까지 치달았던 극한 상황은 진정됐지만 언제 불씨가 다시 붙을지 알 수 없다. 연중 상시 발생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겨울철 조류 인플루엔자(AI) 방역까지 겹친 상황이 원인으로 꼽힌다.

갈등의 진앙은 농식품부 산하 가축방역위생지원본부(이하 방역본부)다. 1274명으로 구성된 이 조직은 1999년 돼지 콜레라 대응을 위해 조직된 후 지금까지 방역 최전선을 맡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방역 현장 담당들의 피로도가 커졌다. 계절성인 다른 질병과 달리 ASF는 매개체인 야생멧돼지를 중심으로 연중 상시 발생하다 보니 긴장 상황이 지속된다. 여기에 겨울철이면 AI 방역 부담이 추가된다. 23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특히 방역직(458명)과 예찰직(228명) 그리고 축산 도축장을 담당하는 위생직(352명) 등에서 업무 부담이 커진 것으로 파악된다.

피로가 누적된 방역본부 인원들은 급기야 지난달 21~27일 파업을 단행했다. 당시 농식품부는 연구직 인력 등 가용 인력 1800여명을 동원해 방역 현장을 메우며 대응에 나섰다. 그런데 익숙지 않은 현장에 투입된 이들에게서 ‘피곤하다’ ‘힘들다’ 등의 불평이 나왔다고 한다. 언제든 방역 마비가 가능하다는 단초를 보여 준 사례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현재 방역 업무를 하고는 있지만 ‘태업’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방역 전선이 더욱 넓어지고 있는 점도 우려를 사게 만든다. 이달 들어 ASF에 걸린 야생멧돼지가 경북 상주시와 울진에서도 발견됐다. 중부권에서 점차 남하하는 추세가 읽힌다. 전국 단위의 방역 전선 마련이 필요해질 수 있는 상황이다. 그만큼 현장 방역 인력 업무량도 늘어나게 된다. 또 다시 파업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 김인중 농식품부 차관보는 “방역본부 노사와 정부가 참여하는 ‘방역본부발전협의체’ 만들어 논의하고 있다. 처우 개선 등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해야겠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