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청년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 낼 청년정책 지원조직인 ‘대전청년내일센터’가 22일 운영에 돌입했다.
대전역 지하 1층 청춘나들목(296㎡)을 리모델링한 센터는 3팀 20명 규모로 조직됐다. 청년들의 다양한 의견과 아이디어를 대전시 청년정책에 반영하고, 청년정책을 종합적으로 관리·운영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올해는 ‘청년정책 플랫폼’ 구축, 청년공간·청년주간 운영, 커뮤니티 활동지원, 마음건강 사업, 청년 주도 활동지원 사업 등을 추진한다.
이중 소통 및 정책 홍보 창구 역할을 하게 될 ‘청년정책 플랫폼’은 다양한 곳에 흩어져 있는 대전시의 청년지원 사업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곳이다. 각종 사업에 대한 참여와 신청, 접수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센터는 또 코로나19에 따른 스트레스·우울 등 정신적 어려움 극복에 도움을 주는 마음건강 상담을 지원하고, 취업난 등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한 곳에 모여 자유롭게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청년공간도 마련한다.
청년지원 사업으로는 청년 역량강화⋅교육 지원, 청년커뮤니티 활성화 지원, 청년 1인가구 주거 및 자립 지원 사업 등이 추진된다. 연구·정책발굴을 통해 각종 청년문제를 공론화하는 한편 니트(NEET) 청년 발굴 등의 업무도 수행하게 된다.
센터 홈페이지는 대전시 청년포털인 ‘청춘광장’을 개편해 활용한다. 오는 8월 청년정책 플랫폼 구축이 완료되면 공식 홈페이지로 전환될 예정이다.
시는 내년에 청년정책 연구·조사, 국내외 청년네트워크 조성, 취·창업 연계 프로그램 등으로 센터의 사업 영역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박문용 대전시 청년가족국장은 “청년정책의 핵심은 청년들의 적극적인 활동과 참여”라며 “센터를 통해 청년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다양한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대전시의 청년정책은 그동안 다양한 곳에 산재돼 통합이 어렵고, 청년의 눈높이와 정책에 대한 종합적 관점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시는 청년정책 추진을 위한 지원조직이 필요하다고 판단, 지난해 7월부터 대전시 청년기본 조례 개정 등 관련 규정을 정비해 중간지원조직을 설립했다.
우수정 대전청년내일센터장은 “청년들이 지역에서 행복한 내일을 준비 할 수 있도록 분산돼 있는 청년정책을 한 곳에 엮겠다”며 “청년들의 참여를 이끌어 센터가 소통과 교류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