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7명이 코로나19 이전보다 현재 스트레스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피로감과 사회·여가활동 제한을 꼽았다.
경기연구원은 지난달 18일 경기도민 10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를 담은 ‘코로나19 3년 차, 우리는 잘 적응하고 있나?’를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스트레스가 ‘높아졌다’는 응답은 전체 72.7%에 이르렀다.
‘낮아졌다’는 9.5%에 그쳤다.
연령대별로 스트레스가 높아졌다는 응답은 40대 78.4%, 20대 76.4%, 30대 72.3%, 50대 70.3%, 60대 이상 64.7% 등이다.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피로감(89.1%)과 사회 및 여가활동 제한(87.7%)이 가장 높았다.
이어 감염 두려움(79.6%), 방역 조치(77.6%), 백신 부작용 두려움(72.7%) 등이었다.
특히 40대는 감염 두려움(86.6%), 백신 접종 부작용 두려움(77.5%), 가족 구성원 갈등(57.1%)이 전 세대에서 가장 높게 조사됐다.
반면 60대 이상은 사회적 고립 및 외로움(74.3%), 경제활동 스트레스(71.3%)가 전 세대 중 가장 심각했다.
스트레스 요인에서 성별 간 비교적 높은 차이를 보이는 부분도 있었다.
백신 접종 부작용 두려움(남 66.0%, 여 79.7%)과 감염 두려움(남 73.2%, 여 86.3%)이다.
경기연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사회적 변화는 새로운 생활방식에 적응을 요구하면서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있다며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이 늘어나며 가족 갈등 심화와 자녀 돌봄 부담으로 이어져 돌봄 증가와 경제적 문제는 가정생활 스트레스를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유정균 경기연 연구위원은 “변화한 코로나19 환경과 국민의 인식을 반영한 방역시스템 전환을 고민해야 한다”면서 “코로나19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개인의 노력 지원과 제도적 지원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