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동부 분쟁 지역 돈바스(도네츠크·루간스크주)에서 연이은 포격 사태가 발생하자 정부는 20일 긴급 회의를 열고 교민 안전 확보 대책을 논의했다.
청와대는 이날 서훈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긴급 상황점검회의를 열고 우크라이나 사태를 점검했다고 밝혔다.
NSC는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최근 군사적 동향과 미국·러시아·유럽연합(EU) 등의 외교 동향, 경제적 파급 영향을 분석했다. 또 이번 주 예정된 미·러 외교장관회담 등 (우크라이나 관련) 국제 협의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NSC는 또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는) 우리 국민과 기업의 안전 확보 대책을 재점검 하고, 인접국에 우리 국민의 안전한 출국 협조를 요청하는 등 국민 보호에 만전을 기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향후 폴란드 등 접경지역에 임시 사무소를 개설해 교민들의 대피를 지원하고, 대피용 비상키트배낭 배포와 현지 방공호 등 대피소 정보 안내가 차질 없이 이뤄지도록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주우크라이나 대사관을 통해 현지 체류 중인 우리 국민들에게 조속한 대피와 철수를 권고했다.
현지 체류 교민 숫자도 계속 줄고 있다. 19일 기준 우크라이나 체류 국민은 총 68명이었다. 이 가운데 선교사는 14명, 유학생은 5명, 영주권자와 자영업자 등은 49명으로 조사됐다.
다음주 중 40여명이 추가로 우크라이나를 떠날 계획이지만, 여전히 20명이 넘는 교민이 잔류 의사를 밝히고 있다. 현지 공관은 이들에게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거나 조기 출국하도록 설득하고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