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깬 ‘이란 핵합의’ 복원 임박했나… 미 “며칠 내 타결될 수도”

입력 2022-02-18 10:28

‘이란 핵합의’ 복원을 위한 협상이 며칠 내 타결될 수 있을 정도로 진전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국무부는 17일(현지시간) 이란과의 핵합의 복원 협상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며 이란이 진지함을 보이면 며칠 내 타결이 가능할 수 있다고 밝혔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국무부 대변인은 “우리는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완전히 이행하는 상호적 복귀에 대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고, 그래야 한다”고 통신에 말했다.

전날 이란은 핵합의 복원 협상이 타결에 근접했다는 입장을 내놨다. 미국도 핵합의 복귀를 결정할 최종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장이브 르드리앙 프랑스 외교장관은 “합의가 가능할 정도로 유의미한 의견 수렴이 있었다”며 “몇 주가 아닌 며칠이 남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이 입수한 이란 핵합의 복원 합의문 초안은 이란이 5%를 초과하는 우라늄 농축으을 중단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서에는 한국에 묶인 원유 수출대금 70억 달러 동결 해제, 이란에 억류된 서방 인사 석방 등이 담겼다고 한다.

이란은 2010년 이란 중앙은행 명의로 한국의 은행에 원화 계좌를 개설해 원유 수출대금을 받아왔다. 이 계좌는 미국이 2018년 핵합의 탈퇴 후 이란에 대한 제재를 재개하면서 동결됐다.

로이터는 합의 도출 후 첫 단계적 조치를 시작하고 합의상 마지막 상호조치 시행까지는 1~3개월가량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을 비롯한 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과 독일 등 주요 6개국은 2015년 이란의 핵무기 개발 제한하는 대신 제재 풀어주는 핵합의를 도출했다. 이 합의로 이란은 우라늄을 3.67% 이상 농축할 수 없었지만 미국의 핵합의 파기로 농축 수준을 60%까지 끌어올렸다.

이란은 미국이 재차 핵합의에서 탈퇴하는 일이 없도록 보장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서방은 이를 담보하기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라는 점이 협상의 난제로 남아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