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30년까지 초미세먼지 농도 13㎍/㎥를 목표로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을 현재 8만8000t의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17일 발표했다. 시는 올해에만 목표치의 10%인 4200t 감축에 나선다.
시는 우선 전체 배출량의 40%를 차지하는 자동차 분야에서 2360t을 감축한다. 이를 위해 올해 5등급 노후경유차 4000여대의 저공해 사업을 마무리한다. 또 현재 녹색교통지역에서 시행 중인 5등급 차량 상시 운행제한을 2025년까지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하고 2030년에는 대상 차량을 4등급 차량까지 확대한다.
난방‧발전 분야(전체 배출량의 24%)에서는 1000t을 감축한다는 목표로 소규모 사업장의 노후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교체 비용의 90%를 시가 지원한다. 발전시설, 자원회수시설 등 28개 대규모 대기배출사업장(1~3종)의 배출할당량도 올해 1092t으로 지난해보다 30t 줄였다. 시는 이를 초과하면 배출권을 구입하도록 하는 등 감축이행 여부를 강력하게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노후 건설기계 700대 저공해 조치’, ‘관급공사장 노후 건설기계 사용제한’ 등을 통해 건설기계 분야에서도 840t을 감축한다.
시는 중구, 성동구, 광진구, 관악구 등 4개 지역의 경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지역별 맞춤형 미세먼지 대책도 추진한다. 예를 들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다른 지역 대비 높은 중구 인쇄단지의 경우엔 특성을 고려해 인쇄시설 저감시설을 시범 설치하고 효과를 분석한다.
아울러 공사장 및 배출사업장에 대해선 실시간 IoT(사물인터넷) 측정 장비를 대폭 확충해 현장점검 위주의 기존 관리방식을 보완한다. 올해 70개 공사현장에 시스템을 구축하고, 미세먼지 농도 등을 실시간 점검하고 비정상적인 운영을 감지한 즉시 현장점검 등을 실시한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대기환경기준(15㎍/㎥) 충족과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전방위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며 “미세먼지 걱정 없는 안심 도시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