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홍콩 코로나 통제’ 발언 후 750만 강제 검사, 불응하면 벌금”

입력 2022-02-17 12:37
16일(현지시간) 홍콩의 카리타스 메디컬 센터 밖에서 코로나19 환자들이 추운 날씨 속에 병상에 누워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해 1만2000여명이 병상 부족으로 대기 중이라고 보도했다. AFP연합뉴스

코로나19 환자가 폭증하고 있는 홍콩이 750만 전체 시민을 대상으로 강제 코로나 검사를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모든 수단을 동원해 코로나 상황을 통제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조치다.

17일 홍콩 성도일보 등에 따르면 홍콩에 거주하는 모든 시민은 다음 달부터 일주일에 한 번, 총 3차례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한다. 검사를 거부하면 1만 홍콩달러(153만원)의 벌금이 부과될 예정이다. 중국 의료진이 홍콩에 파견돼 하루 100만명씩 검사를 실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벌금도 벌금이지만 홍콩에선 검체가 중국 본토로 넘어가는 데 대한 거부감이 상당하다. 홍콩 전 시민의 검체를 검사하려면 약 25일이 걸리기 때문에 홍콩 당국이 자체 처리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 때문에 일부 검체는 홍콩에서 가까운 광둥성 선전시로 보내져 검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홍콩 매체는 “개인 정보 문제로 검체를 채취한 병에는 등록 번호만 매겨질 것”이라고 했다.

중국은 2020년 9월 홍콩에 600명의 의료진을 파견해 코로나19 검사를 지원했었다. 그때도 홍콩 시민들은 중국 본토 인력이 넘어와 검사한다는 데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일부에선 생체 정보가 중국 정부에 넘어갈 것이라며 검사를 보이콧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시 주석이 홍콩의 방역을 직접 압박하고 나선 만큼 분위기가 다르다. 홍콩의 친중 매체 문회보와 대공보 전날 시 주석이 홍콩 정부에 “코로나19 방역이 최우선이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가능한 한 빨리 상황을 통제하고 안정시켜야 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시 주석은 특히 자신이 홍콩 상황을 우려하고 홍콩 주민들에게 관심이 있음을 한정 부총리를 통해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에게 전달하도록 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중국 본토에서 실시 중인 고강도 방역 정책이 홍콩에도 그대로 적용될 전망이다. 람 장관은 시 주석의 지시가 있기 직전 “도시 전면 봉쇄 계획은 없다”고 했다가 바로 “코로나 통제를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말했다.

시 주석의 이번 지시는 형식과 내용 모두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홍콩의 친중 매체는 시 주석이 언제 어디에서 한 발언인지 공개하지 않았고 중국 관영 매체에선 시 주석의 발언을 찾아볼 수 없다. 홍콩 명보는 “시 주석이 코로나19와 관련해 특정 지역에 대한 별도 성명을 발표한 것은 후베이성 우한 이후 처음”이라며 “홍콩의 친중 매체를 통해서만 소개된 것은 청중이 홍콩에 국한돼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