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미래 농업을 이끌 청년 농업인 육성에 본격 나선다.
경남도는 농업·농촌의 급속한 고령화와 농업 인구 감소에 따른 심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2개 사업 930억 원의 융자 지원과 9개 사업 94억 원의 직접지원을 통해 청년농업인을 육성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경남의 농업인구는 2000년 46만3855명에서 2020년 25만9829명으로 감소했다. 이 중 65세 이상 고령화 비율은 23.6%(10만9704명)에서 43.4%(11만2733명)로 증가했고 20세부터 40세 미만 청년농업인의 비중은 2000년 17.9%(83만348명)에서 2020년 9.21%(2만3926)으로 대폭 감소해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농업에 종사하는 청년층이 줄어든다는 것은 단순히 생산 가능한 노동인구가 감소한다는 사실에 그치지 않고 농업기반이 악화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젊고 유능한 신규 농업인력 유입과 농업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단계별 맞춤형 청년농업인 육성 지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먼저 도입 단계인 예비 청년농업인 육성을 위해 농고·농대 농업계학교 실습장 지원사업, 스마트팜 청년창업보육센터 운영, 경영실습임대농장 운영, 청년농업인 취농인턴제 사업이다.
농고·농대 농업계학교 실습장 지원 사업은 경남자영고, 김해생명과학고, 국립경상대학교 등에 스마트팜 시설과 장비 15억 4100만 원을 지원해 첨단농업 기술교육을 통해 예비 청년농업인을 육성한다.
스마트팜 청년창업보육센터 운영은 총 904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농업과 전후방 산업의 동반성장을 이끌기 위한 ‘경남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에서 운영되는 사업이다.
스마트팜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에게 작물 재배기술, 스마트팜 장비 운용, 온실관리 경영·마케팅 등 기초부터 경영실습까지 전 과정에 걸쳐 제2기 교육생 52명을 대상으로 20개월간의 장기교육을 추진 중이다.
안정적 영농정착 단계의 청년농업인을 위해 청년후계농 영농정착 지원사업, 청년농업인 취농직불제 사업, 후계농업경영인 육성지원 사업을 펼친다.
청년후계농 영농정착지원 사업은 도내 만 18세 이상~만 40세 미만 청년농업인에게 농업분야 창업 활성화와 조기 경영안정화를 위해 월 최대 100만 원의 생활안정자금을 최장 3년간 지원하고, 창업자금(최대 3억 원)·농지임대·영농기술 교육·경영 컨설팅 등도 연계해 지원한다. 현재 도내에는 지난해 527명이 영농정착지원금 지원을 받고 있으며 올해에는 200명을 신규로 선정하여 총 57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청년농업인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청년농업인 공동체(커뮤니티) 활성화 사업, 청년농업인 맞춤형 컨설팅 사업, 여성농업인 출산 바우처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청년농업인 공동체(커뮤니티) 활성화 사업은 만 18세 이상~만 45세 미만의 청년농업인들로 구성된 12개 동아리 단체에 1억 2000만 원을 지원하여 청년농업인들의 정보교류, 현장애로, 기술·고민상담 등을 통한 안정적 농촌정착과 농촌 공동체 활성화를 꾀한다.
청년농업인 맞춤형 컨설팅 사업은 청년농업인들의 품목별 재배기술 교육을 위해 도내 전문상담가(컨설턴트) 인력자원을 활용하여 찾아가는 영농현장 맞춤형 상담(컨설팅)을 지원한다. 전문상담가와 청년농업인 1대1 맞춤형 지원 사업으로 정식시기부터 수확시기까지 영농현장을 직접 찾아가 농가별 맞춤형 상담(컨설팅)을 지원하는 사업이며 총 1억 5000만 원을 투자해 초기 영농 실패 예방으로 조기 정착을 돕는다.
정연상 도 농정국장은 “청년농업인 육성을 위한 농업분야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맞춤형 지원으로 40세 미만 청년농업인이 2019년 1만9006명에서 2020년 2만3926명으로 126% 증가했다”며 “그동안 사업성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팜 등 농업을 새로운 일자리로 인식하는 청년들을 위해 맞춤형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혔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경남도, 미래 농업 이끌 청년농업인 육성
입력 2022-02-17 12:36 수정 2022-02-17 1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