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카페 수익금 사적 사용 의혹을 받는 김원웅 광복회장이 16일 자진 사퇴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김 회장은 이날 연합뉴스에 보낸 입장문에서 “회원 여러분의 자존심과 광복회의 명예에 누를 끼친 것에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회장은 “사람을 볼 줄 몰랐고 감독 관리를 잘못해서 이런 불상사가 생긴 것, 전적으로 제 불찰”이라고 했다.
횡령 의혹에 대해 광복회 전직 직원의 개인비리이며 자신은 관여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되풀이한 것이다.
김 회장은 입장문에서 “저는 반평생을 친일청산에 앞장서 왔다. 친일반민족언론 ‘조선일보’와 대척점에 서서 싸워왔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 조선일보, TV조선에 의해 제가 무너지는 것이 더 가슴 아프다”고 했다.
김 회장은 “그러나 운명을 거역할 수 있는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 민족정기의 구심체로 광복회가 우뚝 자리 잡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지난해 8월 15일 광복절 기념사에서 이승만·전두환·박근혜 정권에 대해 “국민이 친일을 뿌리에 둔 역대 정권을 무너뜨렸다”고 했다. 또 “친일 카르텔 구조는 여전하고 친일파 없는 대한민국을 만들고 싶다”고 말해 논란이 일었다. 당시 현장에는 문재인 대통령도 있었고, 청와대는 “기념사에 이래라저래라 할 수는 없었다”고 했다.
김 회장은 비자금 사적 사용 논란에 휩싸이면서 지난 2019년 6월 취임 후 2년8개월 만에 사퇴하게 됐다.
지난달 25일 TV조선은 광복회 수익사업업무를 담당했던 간부 윤모씨를 인용해 김 회장의 카페 운용 수익금 유용 의혹을 보도했다. 이어 국가보훈처는 특정감사 결과 수익금을 김 회장이 개인용도로 사용했다는 의혹이 일부 사실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보훈처는 김 회장 등을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
보훈처는 조성된 비자금 6100만원 중 1000만원은 김 회장 통장으로 입금된 후 여러 단계를 거쳐 현금화됐다고 발표했다. 국회 카페 중간거래처를 활용한 허위 발주 또는 원가 과다 계상 등의 방법이 사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일부 비자금은 김 회장이 설립한 ‘허준 약초학교’ 관련 공사 또는 장식품 구입에 사용됐다. 김 회장의 한복 및 양복 구입비와 이발비에도 비자금이 쓰인 것으로 조사됐다.
김 회장은 지난 11일 입장문을 통해 “국가보훈처의 비자금 사적 사용 감사 결과 발표는 명백한 명예훼손”이라며 “자금이 국회 카페에서 만든 비자금이라는 것은 상상도 못했다”고 말했다. 비자금 조성에 자신이 관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 것이다. 김 회장이 의혹을 강력 부인하는 상황에서 김 회장의 지시 및 직접 관여가 있었는지는 경찰 수사를 통해 규명해야 할 사안이 됐다.
윤씨는 김 회장 지시에 따라 카페 수익금이 사적용도에 사용됐다고 주장했지만 광복회는 윤씨 개인 비리라고 반박한 바 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