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0억원대 피해를 일으킨 디스커버리펀드 환매 중단 사태와 관련해 투자자들이 금융당국의 ‘늦장 징계’에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피해자 측에선 자산운용사 대표가 장하성 주중 대사 동생인 데다 장 대사 등 정부 고위 인사들이 투자했다는 점을 근거로 금융당국이 정권 눈치를 보고 있는 것 아니냐고 주장하고 있다.
디스커버리자산운용 제재안은 이르면 16일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의결될 전망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15일 “제재 내용이나 논의 일정이 아직 확정되진 않았지만 신속하게 처리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자산운용사뿐 아니라 판매사인 기업은행 제재안도 이날 함께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의에서 제재안이 결정될 경우 사건 발생 3년 만에 징계가 확정되는 것이다.
디스커버리자산운용 징계 결정은 1년 넘게 지지부진한 데다 논의 과정도 불투명하다는 게 피해자 측 주장이다. 금감원은 지난해 2월 디스커버리자산운용과 이 회사 장하원 대표에 대해 각각 영업정지와 직무정지 처분을 내리는 징계안을 금융위원회에 넘긴 상태다. 금감원은 당시 펀드 판매사인 기업은행과 김도진 전 행장 등에 대한 제재심의위원회(제재심) 결과를 공개했지만 같은 날 의결된 장 대표 징계안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경찰은 최근 펀드 부실화 가능성을 의도적으로 숨긴 채 투자자들에게 상품을 판매했는지 등을 수사 중이다. 신생 자산운용사가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을 판매사로 끌어들인 점도 수사 대상이다. 최근 장 대사 부부와 김 전 실장이 각각 60억원과 4억여원을 투자한 사실이 드러나지 않았다면 제재 심의는 더 늦춰졌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피해자 대책위 이의환 상황실장은 “라임·옵티머스 자산운용에 대해선 금감원이 제재심 결과를 공개하는 등 비교적 정상적인 처리를 한 반면 디스커버리자산운용에 대해선 깜깜 무소식”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금융위 관계자는 “사모펀드 문제와 관련한 제재 결정은 대체로 오래 걸린다.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서 논의 중”이라며 “특별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