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특별시 인천 자원순환정책 만족도 78.2% 긍정적

입력 2022-02-15 09:41 수정 2022-02-15 09:45

환경특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인천시가 자원순환정책 인지도 및 인식을 확인하고, 홍보활동 평가를 위해 지난해 추진한 자원순환정책 홍보 만족도 조사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22일부터 12월 28일까지 인천 및 서울·경기에 거주하는 만 19~59세 성인남녀 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조사로 진행됐다.

조사는 정책 인지도 평가, 캠페인 효과 조사, 광고 효과 조사 분야로 구분해 펼쳐졌다.

인지도 평가 분야 결과 인천시의 자원순환 정책이 긍정적이라는 응답은 전체 응답자의 78.2%로 집계됐다. 남성(82.2%)과 50대(87.1%), 인천 거주자(82.0%)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원순환 정책 중요도는 87.6%가 중요하다고 답변했다. 특히 남성(90.7%)과 50대(90.2%), 인천 거주자(89.6%)에서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캠페인 인지도 조사 분야에서는 시에서 진행한 자원순환 캠페인에 참여하거나 홍보 콘텐츠를 접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18.8%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3.2%는 캠페인이 자원순환 실천과 정책 참여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남성(76.5%)과 50대(84.1%)에서 긍정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광고 효과 조사 분야의 경우 환경특별시 인천에 대한 광고를 이전에 본 적이 있는 경우는 23.6%로 파악됐다. 영상 광고는 주로 지상파 TV(70.4%)를 통해 시청했으며, 인쇄광고는 지하철(스크린도어)(68.2%)에서 본 경우가 가장 많았다.

해당 광고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만족한다는 비율이 71.0%로 나타나 대부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고, 응답자의 72.8%는 광고가 환경특별시 인천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쓰레기 발생지 처리원칙 광고는 광고물을 이전에 본 적이 있는 경우가 24.6%로 나타났다. 영상 광고는 주로 지상파 TV(76.0%)를 통해 인쇄 광고는 지하철(스크린도어)(81.6%)에서 시청했다는 응답이 많았다.

해당 광고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만족한다는 비율이 71.4%로 나타나 대부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응답자의 72.8%는 발생지 처리원칙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답변했다.

오흥석 시 교통환경조정관은 “이번 만족도 조사를 통해 나타난 의견들은 앞으로 자원순환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조사 결과를 면밀히 검토·분석해 시민을 넘어 모든 국민이 공감하고 만족할 수 있는 자원순환정책 대전환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올해 온라인 중심의 홍보시스템을 강화하고 시민 참여 캠페인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쓰레기에도 에티켓이 있다’라는 의미의 ‘쓰티켓’을 중심으로 다양한 온·오프라인 캠페인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