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4일 “임기 내 대통령 4년 중임제 등을 위한 개헌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국민통합 정부 구성 등 정치 분야 개혁을 약속하며 자신이 ‘정치교체’의 적임자임을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중구 명동예술극장 사거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면 개헌이 아니라 합의 가능한 것부터 순차 추진하겠다”면서 “4년 중임제 등 개헌에 도움이 된다면 필요한 만큼의 임기 단축을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개헌 후 현직 대통령의 재출마는 헌법으로 금지돼 있다”며 “일각의 오해처럼 제가 다시 출마하는 일은 없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나쁜 방향의 정권교체가 아니라 ‘정치교체’를 해내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주당과 제가 주권자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음을 성찰한다”면서 “그러나 모든 변화가 무조건 선은 아니다. 정치 보복과 검찰 폭압 통치를 꿈꾸는 세력에 권력을 쥐여주는 건 정권교체일 수는 있어도 정의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를 겨냥한 발언이다.
이 후보는 “정치교체에 동의하는 모든 정치세력과 연대해 국민 내각으로 국민통합 정부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필요하다면 ‘이재명정부’라는 표현도 쓰지 않겠다”고 말했다. 또 “국무총리 국회 추천제를 도입하고 총리의 각료 추천권도 보장해 각 부처의 자율성을 존중하겠다”고 약속했다. 비례대표 확대, 위성정당 금지, 기초의회 2인 선거구 제한 등 선거제 개혁도 공언했다.
이 후보는 기자회견에 앞서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김대중·김영삼·박정희·이승만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했다.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 묘역도 참배한 것에 대해선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역사의 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5년 전 대선 경선 당시 독재자와 국민을 버리고 한강철교 다리를 끊고 도주한 대통령을 참배하기 어렵다고 했었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됐고 사회적 역할이나 책임감도 많이 바뀌고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후 경제인들과의 대화에선 민간 기업 임원 임금을 법정 최저임금의 30배로 제한하자는 내용의 ‘살찐 고양이법’을 두고 “결국 ‘삼성전자 몰락법’, 중국이 좋아할 ‘시진핑 미소법’ 아니냐”고 비판하며 친기업 면모를 강조했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