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체류 국민 281명…15일까지 100여명 추가 철수

입력 2022-02-14 16:12
러시아로부터 침공 위기를 맞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예프에서 13일(현지시간) 민간인들이 열성 우파 단체가 마련한 군사훈련에 참여하고 있다. 연합뉴스

러시아의 침공 가능성이 커져 여행금지 조치가 발령된 우크라이나에 14일 현재 우리 국민 281명이 체류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외교부는 이들에게 철수를 거듭 요청하고 있다.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군용기 등을 급파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날 “공관원을 포함해 현재 우크라이나에 남아 있는 281명의 체류 국민은 선교사(110여명)와 영주권자를 포함한 자영업자(80여명) 등이 대다수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외교부가 지난 11일 우크라이나에 대해 여행금지 발령을 예고했을 때 341명이었으니 며칠 사이 60명이 우크라이나를 떠난 것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15일까지 100여명이 추가로 철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가 이르면 16일 공격을 개시할 수 있다는 정보를 유럽 정상들과 공유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정부는 13일 오전 0시부터 우크라이나 전역에 여행경보 4단계(여행금지)를 긴급 발령했다. 여행금지 조치에도 현지에 계속 체류한다면 여권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체류 국민들에게 가용한 항공편이나 육로를 이용해 최단 시일 내 우크라이나에서 철수해줄 것을 거듭 촉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지에선 대다수 항공편은 정상 운항 중이나, 네덜란드 항공사 KLM이 우크라이나 노선을 중단하는 등 일부 운항 차질도 빚어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사태가 해결의 돌파구를 찾지 못한 채 정세 불안이 고조되고 있어 시급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우리 국민의 안전 대피와 철수에 만전을 기하고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미리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군용기 등을 급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외교부에서) 요청이 오면 (군용기를) 투입해 교민의 안전을 확보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