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보호아동 자립 돕는다…자립 지지 체계 구축

입력 2022-02-14 14:32

부산시가 아동 생활 시설 등에서 생활하는 보호 아동의 건강한 자립을 돕기 위한 자립 지원 계획을 마련해 본격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시는 보호 대상 아동의 자립 지원을 강화해 ‘소득과 주거 안전망 강화’ ‘일상생활 속 자립역량 강화’ ‘지역사회 자립 지지체계 구축’ 등 3대 추진전략, 19개 세부사업을 추진한다.

먼저, 보호 아동의 성공적인 자립을 위해 소득과 주거 안전망을 강화한다.

자립정착금을 지난해보다 100만원 인상해 1인당 700만원(장애아는 800만원)을 지원한다. 대학등록금 지원대상도 보호 종료 1년 이내에서 5년 이내로 확대한다.

자립 수당 지원대상도 정부 정책에 따라 기존 보호 종료 3년 이내에서 5년 이내로 최대 60개월까지 확대한다.

아동발달지원계좌인 디딤씨앗통장의 지원 한도를 최대 월 5만원에서 10만원까지 늘리고 저축액 대비 지원금 비율을 1대 1에서 1대 2로 높인다.

보호 종료 아동을 대상으로 매입·전세 임대주택을 수시로 지원하고 행복주택(BMC)에 우선 입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한국주택금융공사, 월드비전 등 기관 연계사업을 통해 월세 등의 주거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보호 아동이 사회구성원으로 빨리 정착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 속 자립역량을 강화한다.

보호 대상 아동 전체를 대상으로 개인별 자립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자립 지원 전담기관인 부산보호아동자립지원센터는 대입과 취업 준비 아동을 위한 맞춤형 컨설팅과 자격증 취득을 지원하기로 했다. 공인중개사 연계 주거 교육, 금융기관 연계 적금․투자․보험이해 교육 등 자립 교육도 마련해 내실 있게 운영한다.

자립 지원통합 서비스도 새롭게 시행한다. 부산보호아동자립지원센터의 자립 지원 전문가가 보호 종료 5년 이내의 전체 아동을 사후 관리하고, 상담 결과에 따라 맞춤형 집중 사례관리를 진행할 계획이다. 청년 마음건강바우처 사업, 바람개비 서포터즈 운영 등 심리·정서 지원 사업도 신규로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역사회가 보호 아동의 자립을 지지할 수 있도록 자립 지지 체계 구축에도 나선다.

보호 종료 아동의 주거·취업 현황 등 자립실태를 조사하고, 자립 지원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살 예방 심리교육, 상담기술 교육, 경계선 아동 이해 교육을 한다. 공공과 민간기관을 대상으로 자립 지원 실무협의회를 꾸려 운영한다.

보호 아동의 주거·취업·진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수렴하고, 현장의 생생한 의견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밖에 유관기관과 연계한 지원사업을 확대해 교육․생활 안정․자립 준비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등도 함께 진행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코로나 19 장기화, 청년 취업난 등으로 보호 종료 아동의 성공적인 자립과 지역사회 정착은 이전보다 더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면서 "시는 보호 아동이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게 성장해 사회구성원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