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14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집권 시 전(前) 정권의 적폐를 수사하겠다고 말한 데 대해 “검찰 안팎에 보내는 강력한 메시지”라며 “현 정부에 대한 명백한 선전포고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임 전 실장은 윤 후보 발언을 겨냥해 “(대선 후보로서 높은 지지율이 나오자) 권력에 취해 정치보복을 공표한 것”이라며 “‘내가 (대통령이) 된다. 그러니까 꼼짝하지 마’라는 뜻이 내포된 것”이라고 발언했다.
임 전 실장은 윤 후보 발언이 ‘실언’이 아닌 ‘작심 발언’이라는 입장을 드러냈다. 그는 윤 후보의 인터뷰를 두고 “대선 후보의 인터뷰는 (질문 조율을 위해) 질문지가 몇 번을 오간다”며 “윤 후보는 (집권하면 전 정권 적폐청산 수사를 할 것이냐는) 질문의 의도를 충분히 인지하고 그에 대한 답을 꺼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도 이런 맥락에서 윤 후보의 대답을 보고 ‘안 되겠다’고 생각했을 것”이라고 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윤 후보의 인터뷰를 본 뒤 10일 오전 참모회의에서 “정부를 근거 없이 적폐 수사의 대상, 불법으로 몬 것에 강력한 분노를 표한다”며 윤 후보에게 사과를 요구했다.
윤 후보가 검찰총장 임명 당시 검찰개혁에 가장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놓고는 막상 임명되자 개혁에 저항했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임 전 실장은 “윤 후보를 검찰총장으로 임명할 당시 총장 후보 4인에게 검찰개혁에 대한 의견을 물었는데 윤 후보가 가장 적극적으로 이야기했다고 한다”며 “윤 후보는 검찰개혁을 가장 잘하겠다고 해놓고 정작 개혁에 저항을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충돌할 때 윤 후보는 이미 작심하고 정치를 시작했다”며 “(문 대통령) 지지자들이 사표를 받으라고 할 때 문 대통령은 ‘윤 총장은 문재인정부의 검찰총장’이라고 말해 그를 지켜줬다”고 했다.
임 전 실장은 감사원장 사퇴 후 정계로 곧바로 입문한 최재형 전 원장 사례에 대해서도 민주주의에 잘못된 선례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임 전 실장은 “온갖 정보에 접근하는 막강한 권한을 갖고 이를 최대로 활용하다가 효과적으로 정치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대통령은 앞으로 절대 그 자리에 탕평 인사를 못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그는 “정권교체를 바라는 여론이 많지만, 옛 한나라당과 정치검사의 동맹으로 돌아가는 것이 정권교체인가”라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배치해 중국과 갈라서고 남북 갈등을 부추기는 것이 국민이 바라는 정권교체인지 묻고 싶다”고 반문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