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외교장관은 12일(현지시간)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무력 시위를 규탄하며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들은 북한에 적대적인 의도가 없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북한이 미사일 시험 발사 등 불법 행위를 중단하고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은 이날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3국 외교장관 회담을 한 뒤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고, 이러한 행동들이 불안정을 야기하고 있는 점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제사회가 북한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할 것”과 “북한이 불법적인 활동을 중단하고 대화에 나올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한미일이 북한에 대해 적대적인 의도를 보유하고 있지 않음은 물론 전제 조건 없이 북한과 만나는 데 대해 지속해서 열린 입장”임을 강조했다. 잇따른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와 핵실험 및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 모라토리엄(유예) 해제 시사 등 북한의 도발을 규탄하면서도 대북 적대적 의도가 없음을 재차 강조했다.
올해 들어 계속되는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 이후 한미일 외교장관들이 대면 회의에 나선 것은 처음이다. 또 특별한 계기 없이 별도의 시간과 장소를 정해 만난 것은 2020년 1월 샌프란시스코 인근 팰로앨토 회동 이후 2년여 만이다.
이들은 이어 성명에서 “한미 및 미일 동맹이 역내 평화와 안정 유지에 있어 필수적이라는 점을 재확인했다”며 “이런 차원에서 3국 간 안보 협력을 진전시켜 나가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또 각국의 북핵 수석대표들이 빈번히 3국 협력을 하고 있음을 평가하면서 “한국의 이산가족 상봉의 중요성과 (북한의 일본) 납치자 문제의 신속한 해결에 대해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현 상태를 변경하고 역내 긴장을 고조시키는 어떠한 일방적인 행위에 대해서도 강력히 반대함을 표명했다”며 “유엔해양법협약에 반영된 국제법 준수의 중요성을 특별히 강조하면서, 국제법에 대한 오랜 지지를 재차 강조했다”고 했다. 특히 “대만 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중국이 껄끄러워하는 대만 문제를 성명에 넣은 것이다.
아울러 “우크라이나 국경 일대에서의 러시아의 군사력 증강에 대해 논의하고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보전에 대한 흔들림 없는 지지를 공유했다”며 “러시아의 추가적 긴장 고조를 억지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약속했다”고 덧붙였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