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외교장관회담 참석차 하와이 호놀룰루를 방문 중인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12일 오후(현지시간)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전격 양자회담을 가졌다.
이번 회담은 지난해 11월 취임한 하야시 외무상과의 첫 정식 회담인 데다 일본이 일제강점기 조선인 징용 현장인 사도 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나선 이후 처음 양국 고위당국자가 대면한 것이어서 관심이 쏠렸다.
외교부는 이날 40분 가량 이어진 회담 직후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정 장관은 한일 양국이 동북아와 세계의 평화, 번영을 위해 함께 협력해 나가야 할 가장 가까운 이웃국가로, 올바른 역사인식이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발전을 위한 근간임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러한 역사인식은 과거 한일간 대표적 회담·성명·선언에서도 공유돼 온 것임을 지적했고, 이러한 맥락에서 정 장관은 강제 징용 및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등과 관련한 정부 입장을 다시 설명하고 피해자들이 수용할 수 있는 해법을 찾기 위한 협의를 가속해 나가자고 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한국 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등을 둘러싼 갈등을 놓고 일본은 일본은 ‘한국이 해결책을 가져오라’며 소통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정 장관은 특히 이날 일본의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천 결정에 대해 강한 유감과 함께 항의의 뜻을 재차 전달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정 장관은 이와 함께 2015년 ‘일본 근대산업시설’ 등재 시 일본 스스로 약속한 후속조치부터 충실히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이와 함께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가 조속한 시일 내 철회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일본이 한국의 특정 산업을 겨냥해 규제 조치를 취한 것이 현재 한미일간 세계 공급망 안전 강화 협의와도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다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또 양 장관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조기 재가동을 위한 대북 대화의 필요성 및 한일·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앞으로도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과거사를 둘러싼 갈등 속에 한일은 지난해 11월 하야시 외무상 취임 이후 지금까지 양국 외교 장관 정식 회담을 갖지 못했다. 지난 3일에야 약 35분간 첫 통화를 했지만 사도광산을 비롯해 과거사에서 얽힌 주요 현안을 놓고 평행선을 달리는 등 입장차를 보였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