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이어 한미 양자회동→한미일 3자 연쇄 논의 착수

입력 2022-02-13 09:08 수정 2022-02-13 09:09
지난해 3월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서 기념촬영하는 정의용 외교부 장관(오른쪽)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 사진공동취재단

한미일 3국 외교장관들이 북한의 연쇄 미사일 도발 이후 고조되고 있는 한반도 안보 위기 해법을 마련 등을 위한 연쇄 논의에 착수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12일 오후(현지시간) 하와이 호놀룰루에 있는 아태안보연구소에서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별도 회동을 가졌다. 이어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도 한반도 및 동북아 현안 등에 대한 양자 협의를 시작했다.

한일, 한미 외교장관회담에 이어 한미일 3국 외교장관회담도 이뤄진다. 정 장관은 3국 외교장관회담에 참석해 북한 미사일 도발에 대한 대책과 북핵 협상 재개방안 등 현안에 대해 논의한다.
지난해 11월 취임한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 연합뉴스

3국 외교장관 회담은 지난해 9월22일 미국 뉴욕에서 유엔총회 계기로 열린 회담 이후 약 4개월 만이다. 3국 장관이 별도의 시간과 장소를 정해 만나는 것은 2020년 1월 샌프란시스코 인근 팰로앨토 회동 이후 2년 만이다.

특히 이번 3국 외교 장관 회담은 올해 들어 계속된 북한의 미사일 시험 이후 처음 이뤄지는 것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한미일 3국은 이번 회담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의 심각성에 대한 상황 인식을 공유하고 추가 대책을 포함한 새 대응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3국 장관들은 회의가 끝난 뒤 공동회견을 통해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대한 입장과 대응책을 밝히고 3국간 공조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도 내놓을 것으로 전해졌다. 3국은 공동 성명도 준비중이지만 일부 인식차를 좁히지 못할 경우 막판 난항을 겪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은 북핵문제와 관련해 교착국면을 타개하기 위한 대화 재개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일본은 그간 북한에 대한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주장하는 등 강경 기조를 보여와 입장차를 조율하는 문제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기본적으로 대화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올해 들어서는 추가 제재에 무게를 두며 대북 압박을 병행하는 상황이다.

정 장관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한반도 문제에 있어 현상유지는 선택이 아니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서 후퇴라는 것은 생각할 수 없다”며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미국측에서 추가 대응 방안을 내놓을 가능성과 관련해선 “미국도 다양한 구상을 하고 있는 것 같다”며 “우리 생각에는 조금 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도 방법”이라며 적극적인 대북 관여 정책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