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커버리 환매중단’ 장하원 대표, 이틀만에 재소환 조사

입력 2022-02-11 11:34

디스커버리자산운용(디스커버리)의 사모펀드 환매중단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11일 장하원 디스커버리 대표를 재차 소환해 조사 중이다. 장하성 주중대사의 동생인 장 대표는 지난 9일에도 소환 조사를 받았다.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이날 오전부터 장 대표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와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불러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장 대표는 펀드가 부실화할 가능성을 알고도 상품을 판매해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입혔다는 혐의를 받는다.

경찰은 장 대표가 펀드 수익이 없는 상태에서 신규 투자자가 낸 투자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금을 지급하는 돌려막기 방식, 이른바 ‘폰지 사기’ 수법을 벌였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경찰은 지난해 7월 디스커버리 본사 사무실과 판매사인 시중 은행 등을 압수수색해 투자자 명단과 투자 액수가 적힌 PC파일을 확보했다. 이 문서에는 장 대표의 친형인 장 대사가 아내와 함께 2017년 7월쯤 약 60억원을 투자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장 대사가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재직 중인 시점이었다. 비슷한 시기 공정거래위원장으로 취임한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도 해당 펀드에 4억여원을 투자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디스커버리 펀드 환매중단 사건 발생 이전과 이후 일체 환매를 신청하지 않았고 환매금을 받은 사실도 없다’며 특혜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디스커버리 펀드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하나은행과 IBK기업은행 등 시중은행과 증권사를 통해 판매됐다. 은행이나 증권사 등이 모은 투자금으로 미국 자산 운용사 ‘DLI’의 사모사채를 사들여 수익을 내는 펀드였다.

하지만 2019년 4월 DLI가 펀드 운용 과정에서 실제 수익률과 투자 자산 실제 가치 등을 허위보고한 사실이 적발됐다. 미국 금융 당국이 펀드 자산을 동결하면서 국내 투자자들은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됐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기준 국내 투자자가 입은 피해는 2562억원에 달한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