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 주중대사가 고려대 재직 시절 동료 교수들에게 디스커버리 자산운용사 펀드 상품을 추천하며 가입 권유를 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장 대사 주도로 고려대 기업지배구조연구소도 투자에 나섰다가 이해 충돌 문제가 불거졌지만 학교 측은 자체 감사에서 ‘문제 없다’는 결론을 냈다.
10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장 대사는 2017년 4월 무렵 직접 교수들에게 동생 장하원 대표가 설립한 디스커버리 자산운용사 펀드 투자를 권유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고려대 교수는 “장 대사가 당시 오가며 만난 교수들에게 ‘좋은 상품이 있다’며 투자를 권했었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장 대사는 다른 교수들에게도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였는데 동료들 사이에서 ‘동생이 운용하는 펀드를 추전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었다”고 말했다.
디스커버리 펀드는 2019년 4월 2500억원대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를 일으키며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손해를 입혔다. 장 대사는 2017년 7월 이 펀드에 부인과 함께 60억원가량을 투자했다.
장 대사 권유로 투자한 교수들은 해당 펀드의 다른 환매 피해자와 달리 대부분 입·출금이 자유로운 ‘개방형 펀드’에 가입했다고 한다. 또다른 교수는 “교수들은 개방형에 대부분 투자했는데 당시에 이것이 특혜라고 인지했는지는 알 수 없다”고 했다.
고려대가 경영대학 산하 기업지배구조연구소 측이 연구소 기금 7~8억원을 디스커버리 펀드에 투자한 사안과 관련해 자체 감사를 벌였던 사실도 드러났다. 장 대사는 이 연구소 설립을 주도했으며, 2017년 5월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발탁되기 전까지 소장을 지냈다.
학교는 결과적으로 수익이 났다는 이유 등으로 문제 삼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감사 과정을 아는 고려대 관계자는 “학교 재정을 개인의 이해관계가 있는 곳에 투자했었다는 점을 문제 삼아야 한다는 내부 분위기도 있었지만 손해를 보지 않고 회수를 해 문제 없다는 결론이 내려졌다”고 말했다. 고려대 측도 “원금 이상의 수익을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장 대사는 입장문을 내고 “부실 사고가 발생한 펀드 투자와 관련해 사고 이후에 일체의 환매를 신청한 사실이 없고 환매금을 받은 사실도 없다”며 특혜 의혹을 거듭 부인했다.
전성필 박장군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