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집권 시 문재인정부 적폐청산 수사’ 발언에 대해 “근거 없이 현 정부를 적폐 수사의 대상, 불법으로 몬 것에 대해 강력한 분노를 표하며 사과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선거 국면에서 정치 중립 기조를 지켜오던 문 대통령이 이례적으로 야당 유력 후보를 작심 비판한 것이다. 윤 후보의 발언이 임기 내내 권력기관 개혁을 추진해온 문 대통령의 ‘역린’을 건드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선을 불과 27일 앞두고 대통령과 야당 후보가 충돌하는 모습이 연출되면서 선거판에 미칠 파장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참모회의에서 “(윤 후보가) 중앙지검장, 검찰총장 재직 때에는 이 정부의 적폐를 있는데도 못 본 척했다는 말인가. 아니면 없는 적폐를 기획 사정으로 만들어내겠다는 것인가 대답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윤 후보는 전날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더불어민주당 정권이 검찰을 이용해 얼마나 많은 범죄를 저질렀나. 거기에 상응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집권하면 전 정부에 대한 적폐청산 수사를 하겠느냐’는 질문에 “해야죠. (수사가) 돼야죠”라고 답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검찰 독립을 위해 노력해 왔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 후보의 갈등 국면에서도 윤 후보를 지켜줬다”면서 “그럼에도 윤 후보가 검찰 독립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부정하며 모욕감을 준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민주당 후보도 “대선 후보가 정치 보복을 사실상 동원하는 건 본 일이 없다”며 윤 후보 비판에 가세했다.
청와대는 윤 후보 인터뷰 보도 직후 ‘매우 불쾌하다’는 수준의 입장만 냈다가 하루 만에 공세 수위를 높였다. 뒤늦게 해당 인터뷰를 접한 문 대통령이 ‘논란이 있더라도 입장을 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구도 문 대통령이 직접 작성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윤 후보 발언을 두고 “선거 전략 차원에서 나온 발언이면 저열하고, 소신이라면 굉장히 위험하다”며 “정치 적폐이자 구태다. 야당이 대통령을 흔들고 선거판에 불러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선거에 개입해거나 정치 중립을 위반한 건 아니라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을 겨냥한 발언에 대해 반론권을 행사한 것을 선거 개입이라고 하면 대통령은 식물대통령으로 지내야 하느냐”며 “정치 중립 위반이 아닌 가짜뉴스에 대한 정당한 해명”이라고 선을 그었다.
윤 후보는 문 대통령의 비판에 대해 “저 윤석열의 사전에 정치 보복이라는 단어는 없다”고 밝혔다. 윤 후보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은 늘 법과 원칙에 따른 성역 없는 사정을 강조했다. 그런 면에서는 문 대통령과 나는 똑같은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권교체 이후 법과 시스템에 따른 수사 원칙을 강조했을 뿐, 현 정권을 겨냥해 수사하겠다는 의도는 없었다는 것이다.
박세환 박재현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