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윤석열 사전에 정치 보복 없다”…文에 사과는 안해

입력 2022-02-10 15:39 수정 2022-02-10 16:13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0일 “윤석열 사전에 정치보복이라는 단어는 없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이날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서 열린 재경 전북도민 신년인사회에 참석한 뒤 ‘적폐 청산 발언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이 사과를 요구했다’는 기자들의 질의에 대해 “문 대통령님과 저와 똑같은 생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취재진이 재차 청와대에 사과할 의향이 있는지 묻자 “문 대통령의 생각과 제 생각이 같다”고 반복했다. 사실상 공식적인 사과를 하지는 않을 것이란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전날까지만 해도 여권의 ‘정치 보복’이라는 강한 반발에 “내가 하면 정당한 적폐 처리고, 남이하는 건 보복인가”라며 맞섰던 것에서는 한발 물러섰다는 평가다.

윤 후보는 이어 “우리 문재인 대통령께서도 늘 법과 원칙에 따른, 성역 없는 사정을 강조해오셨다”며 “저 역시도 권력형 비리와 부패에 대해서는 늘 법과 원칙, 공정한 시스템에 의해 처리해야 한다는 말씀을 드려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건 제가 검찰에 재직할 때나 정치를 시작해 오늘에 이르기까지 변화가 없는 것”이라며 “제가 당선되면 어떤 사정과 수사에도 일절 관여하지 않겠다는 뜻에서 민정수석실을 폐지하겠다는 말씀을 지난해 여름부터 드렸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참모회의에서 “현 정부를 근거 없이 적폐 수사의 대상, 불법으로 몬 것에 대해 강력한 분노를 표한다”며 윤 후보의 사과를 요구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브리핑에서 이같이 전하면서 문 대통령이 “(윤 후보가) 중앙지검장, 검찰총장으로 재직할 때는 이 정부의 적폐를 있는데도 못 본 척했단 말인가. 없는 적폐를 기획 사정으로 만들어내겠다는 건지 대답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이 야당의 유력 대선후보인 윤 후보에게 공식 사과 요구와 아울러 ‘강력한 분노’까지 언급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앞서 윤 후보는 전날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집권하면 전 정권 적폐청산 수사를 할 것이냐’는 물음에 “해야 한다”고 답했다. 그는 ‘정치 보복’을 선언한 것이라는 여권의 비판에 “누가 누구를 보복하나. 그러면 자기네 정부 때 정권 초기에 한 것은 헌법 원칙에 따른 것이고, 다음 정부가 자기네들의 비리와 불법에 대해 한 건 보복인가”라고 반문했다.

이후 더불어민주당은 선대위 차원의 긴급회의 소집과 이재명 대선 후보의 유감 표명, 윤호중 원내대표와 의원 10여명의 규탄 회견 등을 통해 “정치보복 우려가 현실로 확인됐다”며 전면적인 공세에 나섰다.

이에 윤 후보는 “새 정부가 들어오면 자연스럽게 전 정부 일이 적발되고 정상적인 사법 시스템에 따라 (수사가) 이뤄지게 돼 있다는 원론적인 말씀을 드린 것”이라며 “스스로 생각하기에 문제 될 것이 없다면 불쾌할 일이 없지 않겠나”라고 받아쳤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