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노동박물관 인천 추진 필요

입력 2022-02-10 14:20
근대문화유적이 많은 인천지역 곳곳에서 사유지 및 공공용지에서 벌어지고 있는 마구잡이 철거현장. 민운기 스페이스빔 대표 제공

문화유산보전연대는 10일 인천시의회에서 ‘멸실되는 인천의 근현대 산업문화유산, 보전 방안은 없나?’라는 주제로 현안토론회를 열고 인천지역에 남아 있는 멸실 위기의 산업유산을 보전·활용하기위해 국립노동박물관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희환 도시공공선네트워크 대표는 토론문을 통해 “멸실 위기에 처한 인천의 근현대 문화유산 및 산업유산을 보전·활용하고, 원도심의 문화적 재생의 토대를 마련해 후손들에게 역사문화도시를 물려줘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희환 대표는 “정부 발의에 의한 특별법 발의 및 국회 인준을 통해 국립노동박물관 건립이 가능하다”며 “전수조사비 5억원과 역사문화지구 보상·관리비, 노동·산업유산 지구 지정 및 보상·관리비, 국립노동박물관 건립비 등 예산확보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평우 박사는 주제발표를 통해 “인천 모든 지역을 고층 아파트촌으로 만들 필요는 없다”면서 “파리처럼 파리 중심부 옛 경관보존지역과 외곽 La Défense 파리 외곽의 고층 건물과 현대적 건물 형성지역, 파리 중심부의 역사 경관 지역은 보존하고 외곽으로 고층 건물을 허가하는 지역으로 구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안재환 동일방직산업노동유산보존추진위원은 토론문을 통해 “동일방직 총 면적 2만3000평 내 존재하는 공장과 관련 시설들은 최소 70년 이상 된 것으로 지정문화재나 등록문화재로서 가치가 높아 보존해야 한다”면서 “주거지역보다는 산업문화 역사구역 지정과 함께 공원 갤러리 커뮤니티 공간 공연장 박물관 설치가 인천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한편 이 토론회는 인천시의회와 인천근현대산업문화유산보전연대가 공동 주최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